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복합포아송 모형 기반의 건물피해액 영향요인 탐색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of Building Damage from Natural Disasters Based on Compound Poisson Model

  • 32
150141.jpg

본 연구는 자연재해로 인한 건물피해에 대한 통계모형을 구축하고 그 피해 패턴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건물피해액을 설명하기 위하여 재해발생지역, 재해발생기간, 재해종류를 변수로 도입하여 복합포아송(Compound Poisson) 회귀모형과 영과잉복합포아송(Zero-inflated Compound Poisson)모형을 개발하였다. 1994년부터 2015년 동안 발생한 재해로부터의 건물피해자료와 재해지속기간, 재해지역, 재해종류 자료를 활용하여 모형을 추정한 결과, 영과잉 복합포아송 모형이 보다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 지역이 서울 지역보다 재해로 인한 피해가 더 크게 나타나고 건물피해 발생확률도 매우 높았으며, 강풍에 비해 태풍과 호우로 인한 피해액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재해의 발생지역과 재해의 종류에 따라 세부적인 대책을 세우는 것이 건물 피해를 줄이는 주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statistical models for building damage from natural disasters and analyze the regional pattern of the damage. Both a compound Poisson model (CPM) and a zero-inflated compound Poisson model (ZICPM) have been developed to explain the amount for building damage from natural disasters, while adopting disaster region, disaster duration, and disaster type as explanatory variables. After estimating the above two regression models with the mentioned variables, the ZICPM is verified to be more appropriate than the CPM for building damage data from 1994 to 2015. Results show that amount and probability of building damage for provincial area are much greater than those fo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dditionally, damage from typhoon and heavy rain is statistically proved to be greater than that from strong winds. Accordingly, detailed measures and strategies based on disaster region and type should be prepared to mitigate building damage.

1. 서 론

2. 연구방법

3. 자료

4. 분석 및 결과

5. 결 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