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국가 기본공간정보를 위한 연속지적도 표준 모델 개발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ontinuous Cadastral Map Standard Model for the National Basic Spatial Information

  • 233
150163.jpg

공간정보는 제4차 산업혁명을 맞이하여 국가는 모든 데이터를 개방하기 위해 공공데이터포털, 국가공간정보포털 등 다양한 인터넷 포털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공간정보를 다루는 이용자 측면에서는 생산자가 만든 데이터를 또다른 데이터를 이용 및 융복합 데이터를 새롭게 2차 변형·가공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가는 기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지형·해안선·행정경계·도로·지적 등의 주요 공간정보를 기본공간정보로 선정·고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본공간정보에서 특히 가장 많이 사용하는 데이터는 연속지적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적 차원에서 연속지적도의 표준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지방자치단체 및 민간기업에서 정보를 상호 공유하고, 공간정보 데이터의 융복합이 가능하도록 연속지적도 데이터모델을 생산사양에 요구되는 데이터 모델 표준기법을 통해 제안한다.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patial information is provided to users through various Internet portals such as public data portals and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ortals to open all data. In terms of users dealing with spatial information, data created by producers are used for other data, and convergence data are newly transformed and processed. In this sense, the government selects and announces the main spatial information such as terrain, coastline, administrative boundary, road, and land, which are frequently used as basic spatial information. The most commonly used data in this basic spatial information is continuous cadastral map.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standard of continuous map data model so that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companies can share information and converge spatial information data by establishing a standard system of continuous map at the national level.

1. 서 론

2. 기본 공간정보의 개념

3. 연속지적도 제공 현황 및 문제점

4. 기본 공간정보로서 연속지적도 데이터 모델 개발 방안

5. 결 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