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급주택의 시장특성 확인을 통한 개념접근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ual Approach through the Market Characteristics of High-end Housing
- 한국지적학회
- 한국지적학회지
- 한국지적학회지 제35권 제3호
-
2019.1267 - 79 (13 pages)
- 113

본 연구는 거래가격을 활용하여 가격형성요인의 작용에 차별화가 나타나는 시장을 확인하고, 시장특성을 통해 고급주택의 개념접근을 시도했다. 고급주택은 가격기준이 고가일 뿐 아니라, 기본적으로 거주에 만족을 주는 주택이어야 한다. 전체 주택을 대상으로 가격으로 인한 차별성이 보이면 고가주택 시장, 거주 만족도가 높은 양질의 주택일 것을 기본 요소로 하고 가격으로 인한 차별성이 보이면 고급주택 시장이라고 보았다. 이를 위해 양질의 주택범위를 먼저 판단하고, 가격으로 인한 차별성이 나타나는 시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고가주택 시장과 고급주택 시장을 비교함으로서 고급주택 시장의 특성을 명확히 하였다. 분석결과 고가 고급주택으로서 나타나는 특성은 고층설계를 선호하는 점, 환승역을 비선호하는 점이다. 고가주택에서는 나타나지 않지만 고급주택에서만 나타나는 특성으로는 입지선호 요인이 다르다는 점, 대중적인 건설사의 아파트보다는 차별화된 단지를 선호한다는 점이다. 표본을 통한 분석이지만, 현실성이 반영된 고급주택의 개념 정립을 위한 초석이 될 수 있는 연구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 to identify the market in which differentiation appears in the action of price formation factors, and attempted to approach the concept of high-end housing through market characteristics. High-end housing should not only be a house with a high price basis, but also a house that basically satisfies the dwelling. The scope of quality housing was determined first, and the market was analyzed for differences due to price. By comparing the high-end housing market with the high-price housing market,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gh-end housing market were clarified. The high-end housing market has different location-selection factors and prefers differentiated complexes. Although it is analyzed through a sample,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could serve as a cornerstone for establishing the concept of high-end housing that reflects reality.
1. 서 론
2.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 검토
3. 분석모형
4. 양질의 주택범위 설정
5. 고급주택 시장 분석
6. 결 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