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시가 토지측량규정 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nd Surveying Ordinances in Daegu City
- 신현선(Shin, Hyun Sun) 권기욱(Kwon, Kee Wook) 김준현(Kim, Jun Hyun)
- 한국지적학회
- 한국지적학회지
- 한국지적학회지 제35권 제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9.12
- 93 - 112 (20 pages)
본 연구는 1907년 탁지부 양지과 대구출장소에서 대구 경북지역 구소삼각측량을 위하여 제정한 「대구시가지 토지측량에 관한 타합사항」, 「대구시가지 토지측량에 대한 군수로부터의 통달」, 「대구시가 토지 측량규정」이 한문과 오래된 일본어로 기록되어 해석하는 과정, 옮겨 적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이를 구체적으로 재조명하였으며, 전문가의 입장이 아니라 일반 국민의 눈높이에서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영인본과 지금까지 발간된 해설본을 새로이 재해석하여 그 내용을 수정하였다. 특히 이해하기에 어려운 한문은 의역을 하거나 재해석을 하였고, 현재에 사용하지 않는 용어는 현대인이 사용하는 용어로 수정하였다. 또한 원본 착오, 번역 누락, 번역 오류 등에 대하여 바로 잡거나 기존의 해설본을 보완하였다. 본 연구가 지적법의 모법이라고 할 수 있는 대구시가 토지측량규정 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in 1907, Takgibu Yanggika Daegu Branch, such as 「Discussion on Daegu City Land Survey」, 「Notification from Mayor Land Survey」 and 「Regulation of Daegu City Land Survey」 were specifically reviewed the parts of errors in the process of writing and interpreting legal regulation in Chinese and old Japanese that was enacted for the Daegu·Gyeongbuk area to survey of the origin point of old small triangular survey, and In order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the law at the level of the eyes of the general, rather than the position of an expert, the shadow seal book and the commentary books that have been published so far have been updated, reinterpreted and changed its contents. Chinese sentences by paraphrased or reinterpreted that are particularly difficult to understand, and revised terms that are not currently used by modern people. Also, it supplemented the original mistakes, omissions of translation, translation errors by existing commentary books. In conclusion, it detailed records of the old ancestor cadastral survey, which will serve as a model for cadastral surveys, will be changed and supplemented specifically, and will be useful for the clear interpretation and utilization of the origin point of old small triangular survey.
1. 서 론
2. 대구시가 토지측량규정 등의 주요내용
3. 대구시가 토지측량규정 등 분석 및 수정
4.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