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어부의 생물성에 따른 문장 오류 판단과제의 노년층 및 청년층 간 ERP 성분 비교
Differential Effects of Subject Animacy on Online Sentence Processing between Younger and Elderly Adults: Evidence from ERP
- 전지혜(Ji-Hye Cheon) 성지은(Jee Eun Sung)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재활복지
- 재활복지 제23권 제4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9.12
- 167 - 194 (28 pages)
본 연구는 사건 관련 전위(Event-related brain potentials, ERP)실험을 통해 주어부의 생물성에 따른 문장 오류 판단과제의 정상 노년층 및 청년층간 문장 처리 과정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노년층 17명, 청년층 2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과제는 3가지 조건으로 (1) 오류 없는 문장, (2) 생물성 주어 오류 문장, (3) 무생물성 주어 오류 문장으로 구성되었다. 주어부의 생물성에 따른 문장 오류 판단과제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장 오류 판단과제에서 노년층은 청년층보다 낮은 정확도와 느린 반응시간을 보였다. ERP 성분 분석 결과, 200-500ms 구간의 목적어에서는 생물성 주어 오류 문장, 서술어에서는 무생물성 주어 오류 문장에서 N400 성분이 관찰되었다. 500-800ms 구간에서는 의미관련 P600 성분 및 서술어에서는 N400 성분 지속 파형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문장 오류 유형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있었으며, N400 성분과 P600 성분 진폭 크기 차이가 청년층에 비해 노년층에서 모두 확연하게 감소되어 나타났다. 이는 문장 처리 능력은 노화에 따라 노년층이 청년층에 비해 언어 처리 능력에 있어 약화와 지연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표면적으로 발현되는 정반응률 감소나 반응시간 지연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s of animacy hierarchy on sentence processing in Korean speaking normal elderly adults and younger controls. Animacy hierarchy was manipulated using animate(human),animate(animals) and inanimate categories on the first Noun Pharse(NP1) in a subject position of a sentence.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nimacy manipulation in the first noun phrases on real-time sentence processing using Event-Related Potential(ERP) paradigm. A total of 37 individuals (elderly adults=17 and younger group=20) participated in the study. NP1 was systematically manipulated based on the animacy hierarchy:1)non-violation condition with human animate NP1, 2)animate subject-violation with animal NP1,and 3)inanimate subject-violation with inanimate NP1. Event-Related Potential(ERP)paradigm was employed to examine the effects. Results from the behavioral analyses reveald that the elderly group showed lower accuracy and slower response times(RT) than the young group. ERP analyses demonstrated that N400 emerged in animate subject violation condition for NP2 and inanimate subject violation condition for the verbs. P600 component was observed in inanimate subject violation condition for NP2, whereas sustaind negativity was observed in inanimate-subject violation condition for the verb. The results suggest that manipulation of animacy clue may serve as a critical linguistic feature to elicit aging-related changes in online sentence processing between younger and elderly adult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