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변화로 외식을 통한 식품 섭취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올바른 식생활 문화를 정착하는데 기여하고자, 영화관 조리·판매 간식의 영양표시 개선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영화관에서 간식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영화관 간식의 구매의사결정요인과 영양성분 표시인식, 간식 구매시 영양표시 선호매체를 알아보았으며, 영화관 영양표시 개선(안)을 마련하여 현행표시와 표시개선(안)에 대한 소비자태도, 표시만족, 간식 섭취의도 및 구매의도, 추천의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소비자의 간식 섭취 및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취약계층의 경우에 영화관 조리·판매 간식의 영양표시를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화관 조리·판매 간식은 열량, 나트륨, 당류가 상대적으로 높은 간식임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구매할 것이라는 소비자가 전체의 64%로 나타났다. 셋째, 영양표시 확인매체로는 주문대 비치용 메뉴판과 간식용기 여백이 소비자가 가장 선호하는 매체로 나타났다. 넷째, 영양성분표시를 상세하게 제시하였을 때 소비자의 제품태도, 기업이미지, 표시만족, 섭취의도, 구매의도, 추천의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영양표시 확인용이성, 이해용이성, 표시만족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건강한 식생활문화를 조성하기 위하여 소비자에게 정확한 영양성분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현행 외식영양표시가 개선될 필요가 있다. 영양표시는 소비자의 제품 구매 동선과 소비자교육 측면을 고려하여 표시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주문대 비치형 메뉴판과 용기여백의 영양표시를 소비자가 가장 선호하는 만큼 소비자에게 영양정보를 전달하는 주요 방안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며, 영양표시가 소비자지향적으로 개선되기 위하여 관련 법과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ways to improve nutrition labeling for snacks made and sold at movie theaters in order to create the right environment for dining life. For this purpose, the study examined factors to impact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snacks at movie theaters and their perceptions of nutrition labeling of such snacks, compared and analyzed their perceptions and intentions between the current nutrition labeling and an improved labeling proposal, and identified factors influencing their intentions to have and purchase snacks. An online survey was combined with a field survey at movie theaters. The findings show that the vulnerable in terms of health placed relatively great importance on the nutrition labeling of snacks made and sold at movie theaters. When nutrition labeling was provided in details, it had effects on the positive evaluation of consumer attitude, corporate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These findings raise a need for movie theaters to provide nutrition labeling in greater details than the current practice. In addition, nutrition labeling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he path of action of consumers to purchase a product and consumer education.
Ⅰ. 서 론
Ⅱ. 선행연구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