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해양에 대한 인간의 이용과 활동의 증가는 해양오염, 해양생태계 및 서식지 파괴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결과, 특히 생애주기가 길고 개체수가 적은 해양동물은 멸종위기에 내몰리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정부는 2010년부터 수족관이나 해양박물관과 같이 인공적인 서식장소 11개를 서식지외 보전기관으로 지정하여 멸종위기에 처한 해양생물들을 보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해양생물의 보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식지외 보전기관에 대한 중요성과 그 경제적 가치를 추정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해양동물의 보호와 증식을 위한 관리방안인 서식지외 보전기관의 운영정책에 대한 일반시민들의 정량적 지지도를 추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푸른바다거북의 보전을 위해 시식지외 보전기관으로 운영되고 국립해양박물관의 해양동물 보전역할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서식지외 보전기관과 같은 비시장재인 공공재에 대한 대표적인 가치추정법인 조건부가치추정법을 적용하여 추정된 서식지외 보전기관(국립해양박물관)의 경제적 가치는 약 418억원에서 최대 약 781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해양동물관리 정책자들에게 우리나라 연안해역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에 처한 해양동물의 효율적인 관리방안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increase in human use and activity in the oceans is leading to marine pollution and habitat destruction. As a result, in particular, marine animals with a long life cycle and small population are threatened with extinction. Thus, the Korean government designated 11 artificial habitats, such as aquariums and marine museums, as Ex-situ conservation institutions to preserve endangered marine life in 2010. However, studies on the significance and economic value of Ex-situ conservation institutions providing marine life conservation services have not been conducted.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public s quantitative support for the operation policy of Ex-situ conservation institutions, which is a management method for the protection and propagation of marine animals in Korea. To achieve this, the economic value of the marine animal conservation role of the National Maritime Museum was estimated, operated as an Ex-situ conservation institution for the preservation of green turtles in Korea. By using the representative non-market valuation method for public goods known as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the economic value of the Ex-situ conservation institution (National Maritime Museum) was estimated at approximately 41.8 billion won to a maximum of 78.1 billion w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as basic data for marine animal management policymakers in establishing efficient management plans for endangered marine animals in Korea’s coastal waters.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론
3. 서식지외 보전기관의 가치추정
4.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8)
- A Study on the Analysis of Quality Attributes on the Software Architecture for Development of a Navigation System Platform of Autonomous Ships
- MMG 모델을 이용한 제한수로를 운항하는 선박의 침로안정성능 추정에 관한 연구
- Granger 및 Toda-Yamamoto 인과 검정을 통한 주요 석유화학단지와 액체화물 항만들의 관계성 연구
- BoD 기반의 Steel Lazy Wave Riser(SLWR)와 계류된 FPSO와의 연성해석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 부산 북항 통항 선박간의 시간간격 최적 확률분포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 외항상선에 승선하는 외국인 선원 관리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방위끌림이 없는 장애물에 대한 함정의 충돌회피 기준에 관한 연구
- 일반화물선에서 비표준화물(철재상자)의 안전한 운송을 위한 고찰
- 자율운항선박의 개발 및 운용을 위한 육상 운항사의 인적요인 이슈 고찰
- 불확실성하의 해양석유생산 최적화를 위한 추계적 모형
- Study on the Relationship and Validity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Factors in Public Firms With a Focus on the Port Authorities
- 지상파 통합항법 서비스의 성능예측 시뮬레이션 툴 개발
- 주성분 분석기법을 이용한 선박의 연료소비 예측에 관한 연구
- 예인선 조기 식별을 통한 항로표지시설 추돌 방지 시스템 개발 연구
- 네트워크 기반의 간이 선박조종 시뮬레이터 개발
- AIS 기반 해양시설물과 선박간 권고 안전이격거리 선정에 관한 연구
- 해양동물 보전을 위한 서식지외 보전기관에 대한 대중의 인식조사에 관한 연구
- 항로표지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활용한 항로표지 교육모듈 개발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