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문화신학자 김찬국의 평화 신학
Peace Theology of ‘Korean Culture Theologian, Kim Chan-Kook’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신학사상
- 신학사상 187집(2019년 겨울호)
-
2019.12211 - 239 (29 pages)
- 39

김찬국의 신학은 구약 민중신학자이며, 또 한국 문화신학자라고 말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 문화신학자로서 김찬국 교수를 찾는 일이다. 김찬국 교수도 한국인이라는 의식, 한국 문화에 대한 강한 의식, 한국 민족, 겨레에 대한 사랑이 남달랐고 그 바탕 위에서 신학 작업을 한다. 우리는 여기서 그가 한민족의 문화와 한 겨레의 역사를 강조한 것을 살핀다. 또한, 한국 문화적 신학과 더불어 평화 신학 작업을 한 자취를 연구하고, 그 평화 운동을 전개한 인물이었는지 탐구하고자 한다. 한국문화적 신학과 한국 평화 신학을 전개한 김찬국의 신학이 오늘 우리 시대에도 적용될 수 있는 신학인가, 연구하고자 한다. 김찬국은 구약 출애굽의 역사적 사건을 신화화하여 이스라엘의 해방과 평화를 가져왔는지 살피며, 그는 3·1운동을 우리의 해방의 축제라고 강조한다. 이스라엘 역사와 한국 역사를 같은 지평에서 놓고 제2 이사야의 창조 전승을 바탕으로 연구한다. 그는 정의의 역사의식에서부터 사회정의와 민중 해방, 복음의 실현을 가져오는 평화 정신으로 승화하여 사회 저변에까지 확대하고 전개한다. 한국 문화신학자로서 그는 민주화 운동의 맨 앞자리에서 서서 아모스의 정의 예언자 역할을 하며, 이론적인 민중신학을 실천하며, 제3세계 신학의 이론을 받아들여 민중신학을 전개하며 정의의 예언자로서 실천하는 구약신학자였다. 또한, 한국 문화신학자로서 평화 운동을 한국 문화 신학에서, 한글 사랑과 한글 운동으로 몸소 제자 교육을 하며, 용재 백낙준의 홍익인간 이념과 에큐메니컬 신학운동, 통일 운동, 새로운 3·1운동의 전개 등 하며 한국 문화 속에서 정의의 예언자로서 평화 운동을 한 그 자취를 연구한다.
This is a study Kim Chan-Kook’s Theology of Korean Culture. Kim Chan- Kook’s theology is a Min-Jung theology based on the Old Testament. He loved Korean culture, especially Korean language study as related to Korean history. He was also involved in the Korean peace movement inspired by the concept of justice he found in the Old Testament. Kim Chan-Kook’s theology reflects the pro-democracy movement. He mythicized the Exodus story of the Old Testament, focused on the liberty and emancipation of Israelite slaves. The Korean 3·1 movement was also an important aspect of his theology. Kim Chan-Kook’s research focused on both the history and the creation traditions of 2 Isaiah. He focused on the justice consciousness of the Isaiah and connected it to Min-Jung liberation and the peace movement. Using the perspective of Korean Culture Theology, Kim Chan-Kook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for democracy like the prophet Amos and gave voice to the perspective of the third world. So we conclude that Kim Chan-Kook’s Peace theology is the theology of justice prophet.
Ⅰ. 들어가는 말
Ⅱ. 구약의 역사적 사건을 신화화한 이스라엘 문화, 해방과 평화 정신
Ⅲ. 제의와 역사의식, 제3세계 신학과 민중신학의 평화
Ⅳ. 김찬국의 한국 문화신학 작업과 평화
Ⅴ. 나가는 말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