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가 취업으로 겪는 일-가정 갈등 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2017년 충남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취·창업실태분석 및 지원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총 400명을 분석하였다. 일원분산분석방법과 다중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일-가정 갈등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일-가정 갈등점수는 3.04점(±0.95)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일-가정 갈등의 세부항목 중 자녀양육(3.44점±1.24)과 가사업무 부담(3.21점 ±1.21)으로 인한 갈등점수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대상자의 가정경제 기여율이 높은 경우(β=0.211, p=.015), 모국 송금경험이 있는 경우(β=0.228, p=.009) 일-가정 갈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경제적인 부담이 일-가정 갈등의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여성결혼이민자의 일-가정 갈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경제적인 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양질의 일자리를 가지고 안정적인 고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취업역량 향상에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해야 하며, 여성결혼이민자들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해소하는 정책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자녀양육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아이돌봄서비스,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등의 활성화와 아이 돌봄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확립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work-family conflict of married immigrant women and the degrees of the conflict. This study analyzed survey data conducted in 2017 for a total of 400 married female immigrants, who are having working or business-opening experiences and living in Chungcheongnam 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work-family conflict score for married immigrant women was 3.04 (±0.95). Second, the conflict scores due to child care and family obligations were 3.44 (±1.24) and 3.21 (±1.21), respectively. Third, money transfer to mother country and contribution to domestic family economy were found to be influencing factors of conflict.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the tailored intervention programs to reduce their family and financial burdens.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d apply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job competence and to maintain high quality of jobs and employment stability. In addition, the government has to activate child-breeding services and multicultural mentoring programs for the married female immigrants and to establish a social support system for child-caring to reduce their work-family conflict.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정책적 제언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