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장이 『화엄일승교의분제장』에서 육상원융의를 제창한 이래 육상설은 화엄종에서 일승연기의 무진원융의 뜻을 나타내는 주요한 교리적 방편이 되었고 이 때의 육상설은 대부분 법장의 육상설을 기준으로 하였다. 이처럼 화엄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법장의 육상설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법장의 육상설 성립에 기반이 된 그 이전의 육상설을 살펴보아야 한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육상설 각 항목의 내적 구조와 목적, 그리고 적용 범주의 세 가지를 중심으로 하여 세친의 『십지경론』에서 지엄, 의상에 이르기까지의 육상설을 개괄한 후 이를 바탕으로 법장의 육상설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법장의 육상설은 세친 이래의 전통적인 육상설과 비교해 볼 때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첫째, 전통적인 육상설의 목적이 경전 해석 방법으로 대표된다면 법장육상설은 일승연기의 무진원융의를 드러내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다르다. 둘째, 세친이 육상설의 적용 범주에서 사법을 제외한 것을 지론종의 정영사 혜원은 제한적인 조건을 걸고 사법의 체의(體義)에 의한 적용 가능성을 제시했지만 법장은 전면적인, 무제한적인 육상설의 사법 적용을 주장한다. 셋째, 육상설을 전면적으로 사법에 적용하기 위해서 법장은 전통적인 총별의 구조를 변화시켜서 예를 들어 사법인 집 자체를 총상에, 집을 구성하는 요소를 별상에 배대하는 변화된 총별 구조를 논한다. 세 가지 측면에서 특징을 갖는 법장의 육상설은 검토 결과 지엄보다는 의상의 육상설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지엄까지는 세친 이래의 전통적인 육상설에 포함되고 의상과 법장부터는 새로운 육상설의 흐름이 시작되어 이것이 그 이후 화엄종의 육상설을 대표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법장의 육상설은 의상의 육상설과 비교할 때 차이점도 가진다. 즉 총별·동이·성괴의 원융의가 의상에게는 아직 부각되지 않지만 법장에게서는 예를 들어 별상인 서까래가 곧 총상인 집이며 또 서까래여야만 곧 집이라는 원융의가 극도로 강조된다는 점에서 의상과는 또다른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Since Fazang (法藏), Great Founder of the Huayan School, had advocated the Theory of the Six Characteristics (the Theory, hereafter) in Huayan yisheng jiao fenqi zhang (華嚴一乘敎義分齊章), the Theory became the basic doctrine explaining the meaning of the perfect interfusion in conditional arising and the Theory was always based on the Fazang s theory. To figure out Fazang s theory of the Six Characteristics, we have to look into the former theories than Fazang s. This article focused on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six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e Theory, and the scope of its applicat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at Fazang s theory has three difference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Theories since Vasubandhu s theory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Fazang s theory is to reveal the meaning of perfect interfusion in conditional arising from the perspective of one vehicle doctrine. Second, Fazang insists on the full and unlimited application of the Theory to any conditional arising dharmas without any conditions. Third, in order to apply the Theory to conditional arising dharmas without any conditions, Fazang changed the structure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hole (總相) and parts (別相). Fazang s theory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more by his senior, Uisang (義相) than by his teacher, Zhiyan (智儼). This means that theories up to Zhiyan are included in the traditional theory originated from Vasubandhu, and from Uisang and Fazang a new theory begins, which has represented the Theory of the Huayan school since then. Fazang s theory also differs from that of Uisang. The meaning of perfect interfusion is not yet highlighted in Uisang while extremely emphasized in Fazang.
I. 서론
II. 육상설의 내적 구조
III. 육상설의 목적과 적용 대상
IV.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