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291.jpg
KCI등재 학술저널

층위와 유적으로 본 흑요석제 석기의 공간성

Spatiality of Obsidian Stone tools Viewed by stratigraphy and site

  • 208

198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흑요석 연구를 통해 흑요석은 주로 좀돌날 제작을 위해 효율적으로 이용되었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흑요석제 석기의 시·공간적 변화상을 규명하는 데 미흡하였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층위를 기준으로 한 시간적 차원에서 흑요석 원석의 획득에서부터 석기 제작과 폐기에 이르는 과정의 공간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석기군 구성의 차이는 층위라는 시간적 요소에 따른 제작 기술적 발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흑요석은 최소한 남한 지역 내에서는 충분히 공급될 수 없는 돌감이었으므로 유적으로 반입된 흑요석의 양, 석기 형식, 제작 유무 등이 각 유적의 흑요석제 석기군을 상이하게 만드는 또다른 요소로 작용하였다. 유적별 석기 수량과 총 무게를 기준으로 공간적 차원을 이해하였을 때, 각 유적의 흑요석은 단발적으로 이용되었다는 공통점이 확인된다. 원석이 반입된 유적을 중심으로 다양한 석기군 유형이 혼재되어 있다. 그러나 늦은 시기로 갈수록 더욱 넓은 범위에서 흑요석제 석기가 확인된다. 결국 단발적으로 이용된 흑요석을 토대로 구성된 석기군은 각 유적으로 반입된 돌감의 양에 영향을 받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희소한 돌감인 만큼 시간이 지나며 점차 제작 기술의 진전과 공간적 이용 범위의 확장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볼 수 있다.

A series of researches on obsidian which began in the late 1980s have spread the knowledge that obsidian was efficiently used mainly for the production of microblade. But, previous researches were insufficient to clarify the spatio-temporal changing aspects of stone tool. Therefore, this study on the basis of stratigraphy intends to reveal the spatiality over time in Chaîne opératoire ranging from the acquisition of raw obsidian to the fabrication and disposal of stone tool.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stone tools are thought to have been influenced to some extent by the technical development of the production according to the temporal element of the stratigraphy. But, since obsidian was a raw material that could not be supplied enough in the South Korea at least, the amount of it brought to each site, the type of stone tools and whether or not they were manufactured were other factors that made the obsidian’s lithic assemblages of each site different. In terms of spatiality, there is a common fact that all kinds of obsidian were used momentarily, given the quantity and total weight of stone tools by sites compared to the period of use. Various lithic assemblage types are mixed around the sites where the raw stones were brought. But, the patterns of obsidian’s in-and-outcoming were diversified and scope of its use was expanded as moving on to the secondary obsidian layer. In conclusion, lithic assemblage made on the basis of one-time obsidian can be judged to be affected by the amount and type of the stone tools introduced into each site. However, as time has passed, the progress of debitage strategy and the expansion of the range of spatial use were made since obsidian was a rare material.

Ⅰ. 머리말

Ⅱ. 연구 대상 유적의 층위

Ⅲ. 석기군 유형에 따른 이용양상

Ⅳ. 흑요석의 반입량과 이용관계

Ⅴ. 흑요석제 석기의 공간성 고찰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