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적개발원조사업 홍보의 성과와 과제: 농촌진흥청 KOPIA사업에 대한 수원국 매체분석
Performance and Tasks in the Advertisement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Programs: A Local Media Coverage Analysis of the Korean Programs on International Agriculture (KOPIA) of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in Recipient Countries
- 신현기(Hyunki Shin) 박석희(Sauk-Hee Park)
- 국제개발협력학회
- 국제개발협력연구
- 제11권 제4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9.12
- 55 - 75 (21 pages)
연구목적: 농촌진흥청이 개발도상국들의 농업·농촌 개발을 목적으로 2009년부터 추진한 공적개발원조인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Korean Programs on International Agriculture, KOPIA)의 홍보성과를 수원국 매체 보도실적을 활용해 분석하고, 사업 홍보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한다. 연구의 중요성: 공적개발원조(ODA)에 있어 홍보활동은 공여국 및 수원국 모두에서 사업의 책무성과 투명성 강화에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사업성과에 대한 체계적인 자료가 부족한 농업·농촌분야 ODA에 있어 홍보성과 분석은 수원국 차원에서 지속가능한 개발협력을 위한 토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KOPIA사업에 대한 수원국 현지 매체분석은 사업성과 향상을 위한 책무성과 지속가능성 제고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가 될 수 있다. 연구방법론: 2018년 기준 동남아, 중남미, 아프리카, 중앙아에서 운영 중인 20개국 KOPIA센터 전체를 대상으로 신문, 방송, 잡지, 인터넷을 망라하여 2009~2017년(9년) 간 KOPIA사업을 보도한 총 508개 수원국 매체들의 1,221개 기사를 수집하여 보도량, 보도내용, 미디어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 기간 중 연간 총보도량은 물론 센터당 연평균 보도량도 꾸준히 증가하였다. 보도내용을 보면 사업의 구체적 내용이나 성과를 보도한 ‘사업보도’가 전체 기사 중 50.1%로 센터 소개나 행사안내 등을 전한 ‘센터보도’ 40.0%보다 많았는데, 특히 2014년부터는 사업보도 비중이 센터보도를 능가하였다. 매체유형별 보도 비중은 연도별로 다소 변동이 있지만 대체로 신문, 방송, 인터넷, 잡지순이었으며, 4개 지역 모두 전통미디어의 비중이 높지만 동남아 지역에서 뉴미디어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결론 및 시사점: 분석결과를 토대로 KOPIA사업이 양적 확대와 질적 성숙을 통해 수원국 농업·농촌 발전에 기여함으로써 사업에 대한 대중의 관심도가 증가한 점을 논의하였고, 또한 사업에 대한 효과적인 홍보를 위한 공중전략, 미디어전략, 메시지전략의 세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advertisement performance of the Korean Programs on International Agriculture (KOPIA) that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has undertaken since 2009 for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of developing countries by analyzing local media coverage in recipient countries, and to propose strategies to advertise the performance of the KOPIA. Originality: The analysis of local media coverage in recipient countries is fairly important in improving the 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and also has advantages in corroborating sustainable development cooperation. Methodology: This study analyzed the local media coverage of the KOPIA with totally 1,221 news articles reported by 508 media in newspapers, broadcasting, magazines and internet in the 20 recipient countries from 2009 through 2017. Result: The results reveal that the annual total number and the annual average number per KOPIA center of news articles reported in the local media continued to increase. By news contents, project-focused news took totally 50.1% while center-focused news took 40.0%, and the proportion of project-focused news outnumbered the proportion of center-focused news after 2014. By media type, the largest proportion was held by newspaper, which was followed by broadcasting, internet and magazine in order. Conclusion and Implication: All of these results might imply the effective contributions of the KOPIA to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in the recipient countries.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alternatives to promote the advertisement of the KOPIA from the perspective of three strategies-public relation, media, and message strategy.
I. 서론
II. 이론적 검토 및 연구설계
III. 실증분석
IV. 논의 및 시사점
V.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