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유가철학의 관점에서 본 인성교육과 그 실천방법

Humanity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Confucianism

  • 246
150079.jpg

본 논문은 유가철학의 관점에서 이른바 “인성교육”의 함의와 그 실천방법으로 ‘서(恕)’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미 국내에서 인성교육에 관한 공동의 논의가 시작된지 10년이 지났고, 인성교육진흥법도 시행된 지 3년이 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성”에 대한 기본적 공동 인식기반이 아직 없다. 따라서 인성에 대한 이해의 기반을 마련하고 그 다음 그에 준한 인성교육의 내용을 구성한 뒤 그에 대한 중흥 방책을 모색하고 시행해야 할 것이다. 인성교육은 개인에 국한된 기술이나 재능을 키우기보다는 타인과 함께 사는 사회에서 “인간다움”의 의미를 창출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인간다움”은 인간의 본성이 무엇인지를 묻게 만든다. 여러 가지 철학 사상 중에서 유가철학은 사람을 긍정적인 시각으로 보았다. 공자는 여러 인간관계 사이의 사랑을 강조했고, 맹자는 성선설이라는 인성론을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우리는 선(善)한 인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주자와 다산은 이러한 인성론에 대한 해석이 서로 다르다. 다산은 우리가 선에 대한 성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또 이 네 가지 덕목들은 사단(四端)이라는 도덕적 마음을 발휘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고 보았다. 나는 다산의 선에로의 경향성을 지녔다는 인성론이 다수 동의를 얻는 것을 더 쉽게 한다고 생각한다. 다산은 서(恕)를 매우 강조했다. ‘서’는 내 자신의 마음을 통해 타인의 마음을 이해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그 안에는 이미 타인에 대한 존경과 관심, 배려가 담겨 있다. ‘서’는 윤리적 실천 방법으로서 다양한 인간관계에 살고있는 사람들이 사물을 대하거나 타인을 대할 때 도덕적 자존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다. 그리하여 이 도덕실천의 방법을 통한 인성의 계발은 앞으로 우리의 문화 수준을 한 층 더 높게 끌어 올리게 될 것이다. 이것이 유가철학의 ‘서’가 갖는 현대적 의미이다.

This paper aims to study Humanity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Confucianism. It has been 10 years since the joint debate on humanity education began in Korea, and more than three years have passed since the Act on the Promotion of Humanity Education was promulgated. Nevertheless, there is no common ground regarding the recognition of humanity.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humanity should, therefore, be checked in order to form the content of humanity education and to implement measures designed to promote our humanity. Humanity education is focused on creating human-likeness in a society where people live with others, rather than developing skills or talents that are limited to individuals. Having human-likeness makes one ask what the nature of human being is. Among various philosophical ideas, Confucianism looked at people from a positive perspective with. Confucius emphasized the love present in various human relationships. Mencius, meanwhile, put forward the theory of humanity, that is xingshanshuo性善說. Concretely speaking, we have the good humanity of ren仁 yi義 li禮 zhi智. However Zhuxi’s and Dasan’s interpretation regarding this theory of humanity are different with. Dasan insists that we have an inclination toward goodness. In addition, these four virtues are going to be achieved through performing the psychological mind of Four Beginnings四端. I think Dasan’s theory of humanity toward goodness makes it easier to obtain the consent of the majority. Dasan laid stress on shu恕. Shu implies the understanding other people’s minds through your own mind, and already has a lot of respect, interest, and consideration for others. Shu, as an ethical practice, allows people living in diverse human relationships to secure moral authority when dealing with things or others. Using these methods of moral practice can help people to cultivate humanity. Shu in Confucianism can elevate our culture in the future. This is the contemporary meaning of Shu.

1. 들어가는 말

2. 사람다움과 인성

3. 인성론과 인성교육

4. 인성교육의 실천방법: 서(恕)

5. 인성교육의 시행방안

6. 나가는 말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