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중학생들의 설명텍스트 난도 평가

Middle School Student’s Evaluate the Difficulty of the Expository Text

  • 169
150079.jpg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에 대해 독자가 느끼는 난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제 텍스트를 중학생들에게 제시하고, 독자가 난도를 어떻게 평정하며 난도 평정의 근거는 어떻게 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독자 요인에 따라서 난도 평정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중학교 학생들이 텍스트의 난도를 평가할 때 텍스트의 장르와 구조 등 텍스트의 특성이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독자가 주제에 대해 얼마나 흥미와 관심을 갖고 있는지 등 독자 요인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독성 공식만으로는 텍스트의 난도를 모두 설명할 수 없다는 점을 시사한다. 텍스트의 이독성 공식 연구 뿐 아니라 추가적으로 독자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며, 독자의 특성에 따라 텍스트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ways that middle school students felt about school tex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that readers faced. This study examined how independent factors changed the level of difficulty students experienced. This study foun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evaluate the difficulty of texts based on multiple factors. Characteristics of the text, such as genre and structure, influenced the middle school students evaluations, but so did independent factors such as how interesting the material was and the level of interest that the reader had for the subjec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eadability formula alone cannot explain all the difficulties students have with texts. In addition to this text study, further research on the reader is essential. It will also be necessary to examine how the reader responds to the text according to his or her characteristics.

1. 서론

2. 난도 연구를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및 논의

5.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