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식습관 및 홍차의 효능인지도에 따른 홍차의 형태별 선호도와 홍차 효능 인지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30세 이상 60세 미만 성인여성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령대별 홍차 선호도와 홍차 효능인지도 차이가 없었고, 교육수준별에서 홍차 티백이나 홍차음료에 대한 선호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홍차 잎 우림차에 대한 선호도가 대학원군이 3.21로 가장 높았다(p<0.05). 직업에 따라 비교한 결과, 홍차 음료에 대한 선호도가 직업이 없는 여성들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홍차 효능 인지도는 질병군이 건강군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고(p<0.05). 질병군은 홍차 티백 선호도가 건강군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식습관이 ‘양호한’ 군에서 홍차 효능 인지도가 가장 높았으며, 운동선호도도 높았다. 홍차음료 선호도는 식습관이 ‘양호하지 못한’ 군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홍차의 효능이 있다고 생각하는 군에서 홍차 티백, 잎 우림차와 홍차 시판음료의 선호도가 모두 높았다(p<0.05). 홍차 효능 인지도는 연령(p<0.05), 교육수준(p<0.05), 홍차 선호도(p<0.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운동선호도는 연령(p<0.05), 스스로 인지하는 건강정도(p<0.001), 홍차 선호도(p<0.05)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성인여성에서 교육수준이 높고 운동을 선호하며 홍차 효능인지도가 높을수록 홍차선호도가 높았다.
This study surveyed adult women in Daegu to investigate the intake and preference of tea typ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preference for leaf-brewed black tea was highest in the graduate school group as 3.21 (p<0.05). Comparing professionally, the preference for black tea drinks was significantly lower in women without jobs (p<0.05). The black tea efficacy awareness and preference for black tea bag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disease group than in the healthy group (p<0.05). The black tea efficacy awareness was also highest in the group with poor eating habits, and they had a significantly higher preference for black tea (p<0.05). Among those who said that black tea was effective for health, the preferences for black tea bags, leaf-brewed black tea, and black tea drinks were all high (p<0.05). The perceived efficacy of black tea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p<0.05), education levels (p<0.05), and preference for black tea (p<0.001). In addition, the preference for exercis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p<0.05), self-awareness of health (p<0.001), and preference for black tea (p<0.05). In conclusion, adult women with higher levels of education, higher preference for exercise, and higher awareness of black tea efficacy had a higher level of preference for black tea.
서 론
연구방법
결과 및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