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이·숙제는 중국에서 충절의 상징으로 이름 높다. 특히 사마천 《사기》 <백이열전>에 폭군인 商의 紂王을 치려는 周武王의 말고삐를 잡으며 “신하가 임금을 치는 것을 어질다고 할 수 있습니까?”라며 周武王의 革命을 막아서는 장면은 유명하다. 주나라가 세워지자 백이·숙제는 수양산으로 들어가 고사리를 캐먹다 굶어 죽음으로써 그들의 不事二君하는 충절 이미지가 널리 퍼진다. 중국에서 백이·숙제의 충절 이미지는 唐代 韓愈의 <伯夷頌> 출현 이후 확고하게 자리를 잡으나 宋代 王安石의 <伯夷論> 등 충절 이미지에 파열을 내는 작품들도 등장한다. 백이·숙제 고사는 조선에도 광범위하게 유통되었다. 조선에서의 백이·숙제는 충절 이미지가 대부분으로 특히 왕조 교체나 비정상적인 왕위 변동 상황에서 충절의 상징 백이·숙제는 자주 소환된다. 이 논문에서는 고려, 조선의 왕조 교체시기 이방원과 정몽주의 백이 관련 기록과 단종 폐위 관련 사육신과 생육신의 백이 관련 기록, 그리고 18세기 박지원의 백이 관련 기록을 통해 조선에서의 백이·숙제 고사의 활용 상황을 살펴보고, 중국과의 다른 점을 고찰할 것이다.
Boyi and Shuqi have a high reputation as a symbol of fidelity in China. They blocked up Emperor Wu of Zhou when he tried to attack the tyrant Emperor Zhou of Shang saying “Can you say that it’s ‘Benevolence’ that a servant is trying to assassinate the king?” Because of this scene, Boyi and Shuqi became a icon of loyalty and this image spreads not only in China but also to Korea and Japan. When the Zhou Dynasty was established, Boyi and Shuqi entered Mt. Suyang and starved to death while eating bracken. And their symbol image of fidelity spread widely. Their image of fidelity establish a firm footing after presentation of Han Yu’s ‘Boyisong’ in Tang Dynasty. But Wang Anshi break down an image of fidelity with his ‘Boyilun’ in Song Daynasty. The story of Boyi and Shuqi also distributed widely in Joseon Dynasty. In Joseon, fidelity image of Boyi and Shuqi is frequently summoned especially in the face of the dynastic change or abnormal change of throne. In this paper, I will take a look at the utilization of the Boyi story related to Yi Bang-won and Jeong Mong-ju in the replacement period of Goryeo and Joseon. And also examine the Boyi story related to Danjong’s abolition and Park Ji-won’s Boyi related records in the 18th century.
1. 들어가며
2. 고려, 조선 교체기의 백이 관련 기록
3. 세조의 왕위찬탈과 백이 관련 기록
4. 朴趾源의 <伯夷論> 상·하
5. 나가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