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료관광 인식의 세분화 연구
보건계열 대학생을 중심으로
- 성연(Sung, Yeon) 두영택(Doo, Youngtaek)
- 대한관광경영학회
- 관광연구
- 제34권 제8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9.12
- 109 - 128 (20 pages)
본 연구는 의료관광 인식의 세분화를 실시하여 세분화된 집단의 특성을 도출하고 특성의 시사점을 분석하여 의료관광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보건계열 대학생 대상으로 의료관광의 이론연구 속성에 근거하여 설문응답을 진행하였고 157부의 유효설문으로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의료관광은 잠재적으로 치료, 치유, 만족으로 인식되었으며 ‘높은 인식’군, ‘잠재 인식’군, ‘낮은 인식’군으로 분류 되었다. 결과에 의하면 의료관광의 인식은 72%가 보통에 근접하여 분류되었고 28%는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으로 건강의 융·복합 관점에서 분류 분석하여 우리에게 맞는 건강관련 브랜드로 특성별활성화가 필요하며, 서비스 제공자부터 ‘치유’의 다양한 상품화와 브랜드 구축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상품 특성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고 건강 융·복합 관광의 인식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낮은 인식부문을 배려하여 브랜드 구축을 보완하는 것이 필요한 부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subdivided groups by analyzing the segmentation of medical tourism and to suggest ways to revitalize medical tourism by analyzing the implications of the characteristics. A survey of health research college students was conducted based on the theoretical nature of medical tourism, and 157 vali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a statistical program. Medical tourism was potentially perceived as treatment, healing, and satisfaction, and was classified into high awareness , potential awareness and low awareness . The results show that 72% of medical tourism s perceptions are classified in the middle and 28% are aware. As a suggestion,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each brand as a health-related brand suitable for us by classifying and analyzing it from the perspective of convergence and health of health. In order to revitalize the recognition of health convergence and tourism,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brand construction with low awarenes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