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이용행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Game Behavior on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Adjustment Effect of Social Support
-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 제18권 2호
-
2019.1251 - 101 (51 pages)
- 181

게임 산업은 고부가가치 지식산업의 하나로서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시장이다. 스마트폰의 확산에 이어 AR, VR, AI와 같은 ICT 기술의 발전으로 게임 산업의 영역이 더욱 확대되고 있는 오늘날, 부정적 관점에서 게임 과몰입이나 게임중독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게임 이용행태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적 지지와 자기통제력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 진흥원과 건국대학에서 진행한 청소년 일반 게임 이용자 중 2017년에 시행된 총 968명으로 구성된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게임 선용 정도는 삶의 만족도와 정적 관계를 보여주었고, 게임 과몰입은 삶의 만족도와 부적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 통제력이 높고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게임 선용도도 낮고 게임 과몰입도 낮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 유형 중 교우집단에 의한 사회적 지지가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Game industry is a rapidly growing market. Today, when the area of game industry is increasingly being extended based on the ICT development, the concern about game overindulgence or game addiction is getting high. Accordingly,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game use behavior of adolescents and their life satisfaction, examining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elf-control. Finding was that the level of game good use had a positive 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whereas game overindulg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life satisfaction.
1. 서 론
2. 문헌 연구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