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상의 심리치료적 작용 기제에 관한 고찰
The Mechanisms of Meditation in Psychotherapy
- 박성현(Sung Hyun Park) 민희정(Hee Jung Min)
- 한국문화융합학회
- 문화와융합
- 제41권 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9.06
- 1055 - 1090 (36 pages)
본 논문의 목적은 심리치료를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명상에 대해 정신분석학적 관점과 행동주의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이를 통해 명상의 주요 유형인 마음챙김 명상과 자비 명상의 심리치료적 작용 기제에 대해 이론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우선 명상과 심리학의 융합에 있어 시작점이라 할 수 있는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명상의 작용 기제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치료 프로그램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행동주의적 관점에서 명상의 작용 기제에 대해 탐구했다. 더 나아가 마음챙김 명상과 자비 명상의 치료적 작용 기제를 알아보기 위해 과학적 연구를 살펴보고 메커니즘을 분석했다. 결과적으로, 마음챙김 명상은 주의 집중과 자기 조절, 가치 명료화,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유연성, 노출효과 등을 통해 내적, 외적 경험에 대해 새로운 자각을 심어주고 일정한 공간을 제공해 관점 전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자비 명상은 신경망의 변화와 더불어 정서조절, 신체와 정신의 안정, 긍정정서를 높여 만족감과 행복감을 증대해 심리치료적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명상의 심리 치료적 작용 기제를 증명하는 과학적이고 실용적인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iew the meditation (mindfulness and compassion) generally used in psychological therapy from the perspectives of psychoanalytic and behavioral theories in order to explore the theoretical mechanism of medit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we first explored the theoretical mechanism of meditation from psychoanalytic theory, which is considered the first integration of meditation with psychological therapy. Then, we discussed the theoretical mechanism of meditation from behavioral theory, which has been integrated with meditation for cognitive and behavioral therapy programs. Finally, we reviewed scientific research to identify the scientific mechanism of mindful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According to our results, mindfulness meditation effectively promotes one’s awareness of inner and outer experiences by cultivating focused attention; self-regulation; value clarification; exposure; and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flexibility. Meanwhile, compassion meditation is effective for psychological therapy because it gives people time to regulate and stabilize their body and mind and develop positive emotions in order to cultivate well-being and happiness. Further scientific research on the mechanisms of mindful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should be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se mechanisms of meditation.
1. 서론
2. 명상에 대한 정신분석적 관점
3. 명상에 대한 행동주의적 관점
4. 마음챙김 명상의 심리 치료적 작용 기제
5. 자비 명상의 심리 치료적 작용 기제
6.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