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467.jpg
KCI등재 학술저널

청소년용 자아상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Adolescents Self-Image Scale

DOI : 10.24299/kier.2019.32.4.1
  • 317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용 자아상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 하는데 있다. 예비문항 추출을 위해 자아상 관련 선행연구 및 기존 자아상 관련 척도를 분석하였고, 포커스 그룹과 청소년들의 면담을 실시하여 기초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그 후 3차에 걸쳐서 각 문항의 이해도와 하위척도 문항의 적절성 등에 대해 검증하여 최종 예비문항 58문항이 선정되었다. 최종문항 선정을 위해 청소년 40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기확신, 부모지지, 자기정서, 대인지지로 구성된 26문항의 척도가 개발되었다. 개발된 청소년용 자아상 척도의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우울, 주관적 안녕감, 가족관계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통한 공인타당도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척도 개발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elf-image scale of adolescents. The self-image-related previous research and existing self-image measure to extract preliminary questions were analyzed, and basic preliminary questions were composed by interviewing focus groups and adolescents. Then, the final preliminary questions 58 were selected by verifying the understanding of each item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sub-scale questions three times. For the final item selection, 402 adolescents were survey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were conducted. As a result, 26 items of scales were developed, consisting of self-confidence, parent support, self-emotion, and interpersonal knowledge. The authoritative validity was conduct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with depression, subjective well-being, and a family relationship scale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developed self-image scale of adolescents, and all of them were found to be good.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cale development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