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elf-Esteem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교육문제연구
- 敎育問題硏究 第73輯
- : KCI등재
- 2019.11
- 215 - 234 (20 pages)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어떤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만 18∼24세 21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이용한 매개효과 검증방법인 Hayes(2013)의 PROCESS macro (Model=4)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개방적일수록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이 높았으며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회복탄력성이 높았다. 둘째, 대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해 부모와의 의사소통 개선뿐 아니라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및 상담적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self-esteem and resilience an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elf-estee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16 college students aged 18 to 24 in Seoul or in Gyeong-gi. The date were analyzed with Hayes(2013)’s PROCESS macro(Model=4) method using Bootstrapping. There were two major finding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self-esteem, and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The more open the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ollege students, the more self-esteem and resilience the students had, and the higher the self-esteem, the more resilient they were. Second,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elf-esteem.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for educational and counseling interventions to improve resilience, as well as communication with parents to enhance self- esteem of college student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