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소셜 빅데이터를 이용한 미투(#Me too) 담론의 파급 양상 분석
-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 ISSUE PAPER
- 일반연구사업[2019]
- 2019.01
- 1 - 7 (7 pages)
■ 게시글 분석 결과 첫째, 젠더 이슈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보다는 “성폭력”, “성희롱”, “성추행”, “성차별” 등으로 인한 “여성”들의 피해사실을 “폭로” 혹은 “고발”하는데 초점이 있음. 둘째, 페이스북의 특성 상 직장 내 미투보다는 “스쿨미투”의 비중과 영향력이 더욱 부각되고 있음. ■ 공유·댓글 내용 분석 결과 첫째, 게시글과는 달리 댓글에서는 “미투”에 대한 서로 다른 의견이 혼재되어 있으며 대립적인 양상이 나타남. 둘째, 여성만이 피해자가 되는 것이 아니라, 남성 역시 직·간접적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면서 다양한 층위의 차별과 역차별이 논의됨. ■ 파급력을 기준으로 영향력자 1000명을 선정하여 이들의 성향을 근거로 4개 집단으로 분류함. 이들의 소셜액션 특성을 보면 4월 이후 집단2(온건한 지지)의 비중이 낮아지고, 집단4(과격한 반대)의 비중이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남.
1. 연구 배경
2. 분석 결과
3. 정책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