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505.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화신설, 방법에서 목적으로

The New-Idea of Zhonghua, from method to purpose

  • 185

중화신설 시기 주자는 대상과의 일상적 만남을 뒤로 한 채 내면의 도덕적 본성을 확인하고 확보하려는 태도를 일관되게 비판한다. 일상에서 벗어난 관념화 이론화를 거부한 것이다. 이런 모습은 신설 이전 소위 대본(大本)이나 본심(本心) 혹은 구인(求仁)을 강조하던 것과는 확연히 달라진 모습이다. 도남학의 미발체인(未發體認)과 호상학의 찰식단예(察識端倪)는 감정의 발출 이전이냐 이후냐 라는 공부 방법의 차이를 보여준다. 그러나 중화신설 이후 주자에게 있어서 그것은 오히려 부차적인 문제였다. 체인이든 찰식이든 그 목적이 ‘도덕적 본성의 확인’이라는 측면에서 동일하게 극복되어야 할 것이었기 때문이다. 신설 이후 도덕적 본성을 확인하고 확보하는 것은 올바른 윤리적 행동을 위한 전제요 조건이지 그 자체 공부의 궁극적 목적이 아니었다. 격물이든 함양이든 주자의 공부론은 대상과의 일상적인 만남 속에서 윤리적 선택과 인격적 성장이 가능하다는 해석학적 성격을 지닌다.

In his letter to his colleagues in period of New-Idea(新說) and in many subsequent writings, Zhu-xi consistently criticizes contemporary scholars’ attitudes to identify and secure the inner moral nature, leaving behind the daily encounter with the object. He rejected theorizing outside of everyday life. This figure is quite different from the period of Old-Idea(舊說) that emphasized the so-called script Great fundamental(大本), Original mind(本心) or Finding Moral Nature(求仁). Daonanxue(道南學)’s Weifatiren(未發體認) and Huxiangxue(湖湘學)’s Chashiduanni(察識端倪) show the difference in study methods, before or after the release of emotion. But for Zhu-xi after the period of New-Idea(新說), it was a secondary problem. It was because Weifatiren(未發體認) or Chashiduanni(察識端倪) had to be overcome because their purpose was to “find the moral nature.” Identifying and securing the moral nature from the point of view of Zhu-xi is a prerequisite for correct ethical behavior, not the final purpose of studying itself. Zhu-xi’s theory of study, Hanyang or Gewu, has a hermeneutic character that enables ethical choice and personal growth in everyday encounters with objects.

Ⅰ. 미발함양은 공부의 목적인가?

Ⅱ. 회의의 출발: 주체와 대상의 분열

Ⅲ. 문제의 소재: 관념화 이론화의 공소성

Ⅳ. 敬과 소학으로: 대상에 대한 존중과 몸공부

Ⅴ. 도덕 주체의 확보(盡心)란 오히려 자기 비움(虛靈明覺)일 뿐

Ⅵ. 관념에서 관계로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