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O 성격검사 청소년용 타당화 연구
A Validation Study of the NEO-PAS for Korean Adolescents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 청소년상담연구(학술지)
- 청소년상담연구지 27권 2호
-
2019.11245 - 261 (17 pages)
- 518

이 연구의 목적은 성격 5요인 이론에 기반을 두고 한국 상황에 맞게 안현의와 안창규(2017)가 개발한 NEO 성격검사 청소년용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현재의 NEO 성격검사는 초판(2006년)이 개발되고 표준화 연구가 발표된 이후 몇 차례 문항과 하위요인이 수정되었기에 최근 3년 이내에 표집된 새로운 자료로 검사의 안정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 전국 분포에서 중․고등학생 1,665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신뢰도 확인을 위해 내적합치도를 계산하고, 구성타당도 및 준거관련타당도 확인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Holland 진로검사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NEO 성격검사 청소년용의 내적합치도는 요인별로 .81~.92, 전체 .90으로 나타나 신뢰로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요인별 적합도 지수가 높지는 않았으나 기존의 성격검사 타당화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범위에 포함되었고 이에 대한 해석을 제시하였다. 준거관련타당도는 선행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NEO 성격검사 청소년용의 활용상의 유의사항 및 논의점을 살펴보았다.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latest version of the NEO Personality Assessment System(NEO-PAS) with adolescents in South Korea. The latest version NEO-PAS(Ahn & Ahn, 2017) was developed to assess the trait personality of Koreans based on five-factor model(FFM). As some changes have been made in items and facets of the initial version of the NEO-PAS(2006), researchers conducted revalidation of the NEO-PAS(Ahn & Ahn, 2017). For validation, internal reliability test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and correlation analysis with Holland personality ability were conducted with 1,665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Results shows that the NEO-PAS(Ahn & Ahn, 2017) for adolescents has good internal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for each factor with its facets, but not for the whole five-factor model. Because of the complex structure of FFM inventories, this FFM’s misfit from CFA is a relatively frequent issue. Additionally, as shown in previous studies, it has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Holland. Potential utility of the NEO-PAS(Ahn & Ahn, 2017)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