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논문
국가지식-학술기사

고위기 청소년 정신건강 상담개입 매뉴얼: 비행 편

  • 이용수 733
커버이미지 없음

키워드

초록

최근 우리나라 청소년 범죄는 양적인 측면에서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질적인 측면에서는 더욱 흉포화, 전문화, 재범화 되고 있다. 우리나라 소년범(범죄소년과 촉법소년)의 수는 2008년 12만 6213명에서 2017년 7만 2759명으로 10년간 42.4%가 감소하였으나 범죄로 소년원에 수용되었다가 출원 후 1년 이내 재입원한 소년범의 비율은 2014년 9.5%에서 2016년 14.0%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법무연수원, 2019). 특히 청소년이 저지른 범죄유형 중 재산범은 2007년 33,659명(38.2%)에서 2016년에는 33,088명(43.5%)으로 5.3% 증가하였고, 절도범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약 70~80%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폭행·상해범의 비율은 90%를 넘어 이들 범죄에 대한 특별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절도와 폭력으로 인해 보호처분을 받은 비행 청소년을 대상으로하여 재비행의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비행청소년의 긍정적인 자기지각과 자기 통제력을 향상시키고 공격성을 낮추기 위해 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 이루어졌다. 첫째, 프로그램의 기획단계 및 구성단계에서는 비행청소년에 관한 문헌 및 프로그램들을 개관하고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청소년비행 예방센터, Wee센터 등 청소년 전문기관에서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개인상담 및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현장전문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또한 CYS-Net 종합상담시스템을 통해 연구 참여자를 모집하여 비행청소년의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비행청소년의 효과적인 상담개입을 위해서는 비행유형에 관계없는 공통적인 요소를 다루면서 비행유형별 특성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이 도출되었다. 둘째, 비행청소년은 부모를 비롯한 가족요인과 또래요인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주변의 지지자원을 극대화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부모교육을 통한 개입방안이 중요하다는 점이 도출되었다. 셋째, 비행청소년의 효과적인 상담접근방법으로는 인지·행동적 접근을 중심으로 참여자의 동기를 강화하는 접근과 해결 중심적 접근이 필요하고, 강의식이나 지필식이 아닌 활동중심의 참여식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점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프로그램은 초기, 중기, 후기단계별 개입이 필요하며 상담자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이 도출되었다. 둘째, 프로그램 개발단계에서는 기획단계의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목표및 구성 원리를 도출한 후 프로그램 개발진의 회의를 통하여 프로그램의 세부내용과 활동지 등을 구성하고 프로그램의 초안을 마련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상담초기는 1회기에서 3회기에 해당되며, ‘라포형성,’‘상담구조화,’ ‘부정적인 감정해소’를 가장 중요한 목표로 설정하여, 비행청소년 내담자와 상담자의 관계형성이 잘 이뤄지기 위한 상담자의 태도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둘째, 중기단계는 4회기에서 7회기에 해당하며, ‘비행사건에 대한 구체적인 탐색,’ ‘정서조절,’ ‘대안행동탐색’을 중요한 목표로 설정하여, 비행청소년의 자기 통제력을 키우고 친 사회기술을 증진하면서 대안행동을 학습하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후기 단계는 8회기에서 10회기에 해당하며, ‘긍정적인 삶의 태도,’ ‘진로 및 미래계획 강화’ 등을 중요한 목표로 설정하여, 비행청소년이 자신의 장점을 찾고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지각을 높이면서 비행청소년 중 성공모델을 통해 진로탐색 및 미래계획을 설정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보호자 교육을 통해 집단상담의 성과를 공유하고 적절한 양육 및 의사소통방법을 안내하면서 마무리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총 10회기로 구성되었으며, 단계별로 상담 초기, 중기, 후기로 구분하여 차별화된 상담 개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특히 회기별로 순차적으로 진행을 해도 무방하지만, 모듈형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필수적으로 다루어야 할 내용인 법 교육 등과 함께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심리·사회적 개입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프로그램의 실행 및 평가단계에서는 프로그램 초안을 바탕으로 시범운영을 실시하여 효과성을 평가하였으며, 전문가의 감수를 받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법원으로부터 수강명령을 받은 비행청소년 7명을 대상으로 시범운영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본 프로그램은 비행 청소년의 긍정적인 자기지각을 향상시키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프로그램은 비행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Juvenile crime rates in Korea have been declining in recent years, but on the flip side, there have been worrying trends of increase in brutality, sophistication, and recidivism. The number of Korea’s youth crime offenders (ages 10-13 and 14-18) fell from 126,213 in 2008 to 72,759 in 2017, a 42.4% drop in ten years; but among the offenders who were released from juvenile detention centers, the rate of those who ended up back in detention within a year has gone up every year, showing an increase from 9.5% in 2014 to 14.0% in 2016 (Institute of Justice, 2019). By type of crime in youths, the number of property crime offenders increased by 5.3% from 33,659 (38.2%) in 2007 to 33,088 (43.5%) in 2016 while thefts have consistently accounted for 70-80% of youth crimes and assaults and mayhems over 90%, which call for special measures to address these crimes. In this light, this study set out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intervention program to prevent recidivism, targeting juveniles under protective disposition due to theft or violence. More specifically, we aimed to improve positive self-perception and self-control, and reduce aggression. We developed the program in the following steps: First, in the planning and design phase,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existing programs on juvenile delinquency to find implications for our program. Then we had in-depth interviews with field experts including practitioners who had experience running individual/group counseling programs for delinquents at youth counseling centers, juvenile delinquency prevention centers, and Wee Centers. In-depth interviews with juvenile delinquents were also conducted by recruiting study participants through CYS-Net counseling system. As a result, we first found that an effective counseling intervention would require an approach that focuses on specific traits of each delinquency type while also addressing the common factors regardless of the types. Second, the result showed that it is critical to provide parent coaching to maximize resources for support since family, namely the parents, has great influence on juveniles along with peers. Thir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cognitive and behavioral approaches as well as a focus on problem-solving would be effective to motivate the participants, and engaging the participants with activities would work better than lectures or writings. Lastly, we identified a need to design intervention by stage—early, middle, and late—as well as the requirement for measures to prevent the counselor’s burnout. In the program development phase, we defined the objectives and principles of the program based on the analysis above, and developed a draft with detailed plans and activity worksheets through internal meetings. To be more specific, the early stage was defined as the first three sessions, where the primary objectives would be rapport building, structuring, and resolving negative emotions; desired attitudes of the counselor to build relationship with the participants we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middle stage from the 4th to 7th sessions, the key objectives included exploring the delinquency incident, cognitive restructuring, and exploring alternative behaviors, with the focus on improving self-control and pro-social skills, and learning alternative behaviors. The late stage from the 8th to 10th sessions established the objectives of building positive attitudes toward life and developing career/future plans, centering on helping the participants find their strengths, build positive self-perception, and develop plans for their career and future by introducing success stories of former delinquents. Lastly, parent coaching was included in the program design to share the result of the group counseling and provide advice on parenting and communication skills. The program was designed to have a total of 10 sessions, which were divided into early, middle, and late stages for tailored cou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 의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0)

등록된 수록 논문 정보가 없습니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