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와 진성리더십의 조절효과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문헌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감정노동이 구성원의 직무열의를 매개로 이직의도가 높아질 것이라 가정하고 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들 변수간의 관계에 진성리더십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감정노동직군으로 대변되는 서비스직 종사자 3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은 SPSS 22.0과 SPSS PROCESS macro (Hayes, 2013)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감정노동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직무열의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감정노동이 높을수록 직무열의가 낮아졌으며, 이직의도는 높아졌다. 또한 진성리더십은 감정노동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감정노동이 직무열의를 통해 이직의도로 가는 간접효과를 조절하지는 않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controlling effects of mediated effect and authentic leadership of job engagement among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the turnover intention. Specifically, this paper attempted to confirm th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job engagement would make the turnover intention increase through the job engagement of members. This paper also confirmed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variables. To test the hypothesis, it surveyed 344 workers in the service sector of emotional labor jobs, and used SPSS 22.0 and SPSS PROCESS macro(Hayes, 2013) for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emotional labor directly affected the turnover intention and job engagement indirectly affected it. Specifically, the higher the emotional labor, the lower the job engagement, and the higher the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it has been verified that authentic leadership has reduced the negative impact of emotional labor on job engagement and, authentic leadership controls indirect effects of emotional labor leading to the turnover intention through job engagement.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III. 연구방법
IV. 연구 결과
V.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