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조선 후기 도성지도의 하천 유로를 분석하여 『대동여지도』(1861) 「도성도」의 지도 계열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하천 지리 정보가 그려진 과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하천 유로 내용을 볼 때 도성지도는 3계열로 나타나며 이 중 「도성대지도」(A) 계열에서는 도성내 모든 유로가 묘사되어 있으며, 초교와 이교를 잇는 유로 묘사여부에 따라 하위 계열(A1, A2, A3)로 분류됨을 확인하였다. 『여지도』의 「도성도」 계열(B) 지도에서는 사직동천, 이전동천, 남소문동천 지류가 삭제되며, 창덕궁 구역 서쪽의 하천 묘사에서 변형이 나타난다. 『수성책자』(1751)의 「삼군문지도」 계열(C) 지도는 B계열과 유사하나 창덕궁 서쪽 구역의 하천이 전혀 묘사되지 않고 있다. 『대동여지도』 「도성도」는 C계열의 지도 내용을 따르고 있으며, 『청구도』의 「도성전도」는 A1계열에 속하여 차이를 보이고 있다. 20세기 초 대한제국기에 그려진 도성지도는 A2, A3 계열 혹은 B계열 지도의 내용을 따르고 있으며 A1과 C계열의 지도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대동여지도』에 삽입된 「도성도」가 18세기의 지도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목판본으로 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후 도성지도 제작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of river channels on maps of Hanyang(漢陽) to reveal the type of 「Doseongdo(都城圖)」 in 『Daedongyeojido(大東輿地圖)』(1861). As a result, three types of river channel were identified. On the A type of 『Doseong-daejido(都城大地圖)』, all river channels within fortress were described. This type is devided into 3 sub-types(A1, A2, A3)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channel between Chogyo(初橋) and Igyo(二橋). On B type of 『Yeojido(輿地圖)』, description of some channels were changed or erased. On the C type of 『Samgunmun-jido』 which is made in mid-18th century, more channels were erased. 「Doseongdo」 in 『Daedongyeojido』 is included in C type. Map in 『Cheonggu-do』 which is known to as basic map of 『Daedongyeojido』 is included in A1 type. The types of river channels on maps made in the period of Imperialism(1897-) are included A2, A3, B types. This shows that 『Daedongyeojido』 has no influence to the maps which is made later.
1. 들어가면서
2. 한양 도성내의 하천 유로
3. 『대동여지도』와 『청구도』 유로 비교
4. 유로 묘사에 따른 지도 계열
5.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