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582.jpg
KCI등재 학술저널

「金海府內地圖」의 군현지도 발달사적 의의 연구

The Cartographic Study of Old County Map of Gimhae

  • 44

본 연구는 「金海府內地圖」의 공간구성과 지명 분석을 통해 제작연대를 파악하고, 이 지도와 다른 군현지도의 차이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수록된 지명의 비교 분석을 통해 당시의 지리적인 내용과 경관의 변화를 파악하고, 고지명의 분포와 복원을 시도하였다. 「김해부내지도」는 성리학자 奇正鎭의 유품에서 나온 지도로 김해 읍성을 중심으로 한 군현지도이다. 「김해부내지도」는 관아 관련 지명을 많이 수록한 읍성 중심의 지도이고, 다른 지도는 읍성 내의 지명보다는 읍성 밖의 지리 정보를 많이 수록하고 있어 보다 넓은 지역을 나타내기 위한 지도임을 알 수 있었다. 「김해지도」에 수록된 지명을 『김해지리지』에 근거하여 김해읍성의 위치를 복원하면 동문과 서문을 연결하는 도로는 동광아파트 주변 사거리와 김해 축협을 연결하는 분성로이다. 남문과 북문을 연결하는 도로는 세원백화점 뒤 도로에서 경화춘~가구백화점~소방파출소~광남 아파트를 연결하는 도로로, 남문은 김해 중학교 근처이며, 북문은 향교 아래가 된다. 읍성은 현재 호계천이 복개된 호계로와 가락로·분성로를 중심으로 지역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었다. 「김해부내지도」에 수록된 지명들은 당시 김해부의 지역 구조를 이해하는데 방향성을 제시하였던 중요한 지표였다. 또한 「김해부내지도」에 나타난 읍성은 권력의 상징성과 장소에 대한 가치 부여가 중시되어 구성되었다. 「김해부내지도」를 통해 삶의 공간에 대한 역사성을 확인함으로써 지역사회에 대한 애정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지방화의 시작이 역사적 공간 확인에서 시작된다고 볼 때 김해의 정체성을 구현하는데 있어서도 「김해부내지도」는 좋은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age of the cartography through a space constitution and a geographical analysis of ‘Kimhae map 「金海府內地圖」’ and to study the difference between this map and other Gun-hyeon(kinds of administrative district) maps. In addition, the geographical content and change of those days were recognized and distribution and restoration of the ancient place name were tried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Kimhae map 「金海府內地圖」’ is a Gun-hyeon map that is discovered in relics of Sung Confucianist, Kijeonggin(奇正鎭) in which Kimhae city-wall is situated in the main part of the town. In the middle of the map are city-wall, stone castle and earth castle Out of the castle is written natural names such as peaks, rivers, reservoirs and in the castle is specifically written government building names and administrative place names centering ‘Ri(里)’. On comparing with other Gun-hyeon, it was able to be known that ‘Kimhae map 「金海府內地圖」’ was an city-wall centered map which wrote down plenty of government related place names and the others were maps indicating wider regions which recorded geographical information of outer city-wall rather than inner city-wall. In the result of this study, place names written in ‘Kimhae map 「金海府內地圖」’ is presumed essential indices having presented a direction in regard of understanding regional structure of Kimhae-bu at that time. Besides, the city-wall appeared in ‘Kimhae map 「金海府內地圖」’ was composed thinking much of giving value on place and symbolism of authority. By identifying historicity on space of life with ‘Kimhae map 「金海府內地圖」’, affection toward community will be realized and when the beginning of localization begins at confirming historical place, ‘Kimhae map 「金海府內地圖」’ is a good means on embodying the identification of Kimhae.

1. 서론

2. 「김해부내지도」 내용

3. 수록 지명의 유형별 내용

4. 수록 지명의 위치 복원

5.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