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589.jpg
KCI등재 학술저널

아이라인 문신이 마이봄샘 기능이상 및 안구 표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yeliner Tattoo on Meibomian Gland Dysfunction and the Ocular Surface

  • 28

목적: 아이라인 문신이 마이봄샘 기능이상 및 안구 표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아이라인 문신군 16안(8명)과 대조군 18안(16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안구표면질환지수를 이용한 설문조사, 안구표면 염색정도, 눈물막파괴시간, 상안검연의 이상 여부, 마이붐의 배출 및 성상, LipiView?? (TearScience, Morrisville, NC, USA)로 측정한 마이봄샘의 손실 정도 및 눈물 지질층 두께를 비교하였다. 또한, 마이봄샘 개구부로부터 문신까지의 거리와 지표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아이라인 문신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안구표면질환지수가 더 높았으며(p=0.002), 눈물막파괴시간은 더 짧았다(p<0.001). 아이라인 문신군에서 상안검연의 혈관 확장이 있는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으며(p=0.016), 마이붐은 배출이 덜 되고 더 불투명하였다(p=0.006, p<0.001). 마이봄샘 손실 비율은 문신군에서 더 높았으며(p<0.001), 눈물 지질층 두께는 문신군에서 더 낮았다(p=0.024). 아이라인 문신이 마이봄샘 개구부에 가까울수록 상안검연의 혈관 확장 및 마이봄샘의 손실 정도는 심하였고(rs=-0.560, p=0.024; rs=-0.563, p=0.023), 눈물 지질층의 두께는 얇았다(rs=0.567, p=0.022). 결론: 아이라인 문신은 안검연의 변화, 마이봄샘의 손실의 증가 및 눈물 지질층의 얇아짐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Purpose: To determine whether eyeliner tattoo affects the meibomian gland (MG) and ocular surface. Methods: The medical charts of an eyeliner tattoo group (16 eyes of 8 patients) and a control group (16 eyes of 18 patient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questionnaire, ocular surface staining score, tear film break-up time (TBUT), upper eyelid abnormality, meibum expressibility and quality, and MG loss and tear film lipid layer thickness (LLT) which measured with LipiView?? (TearScience, Morrisville, NC, USA) were compared. In the tattoo group,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stance from the MG orifice to the tattoo pigment and other indices were analyzed. Results: Compared to controls, the tattoo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p = 0.002), shorter TBUT (p < 0.001), higher vessel engorgement of the upper lid (p = 0.016), poorer meibum expressibility and quality (p = 0.006 and p < 0.001, respectively), higher MG loss (p < 0.001), and thinner LLT (p = 0.024). In the tattoo group, the closer the tattoo was to the MG orifice, the more the upper lid vessel was engorged and the more MG loss occurred (rs = -0.560, p = 0.024; rs = -0.563, p = 0.023, respectively), and a thinner LLT was observed (rs = 0.567, p = 0.022). Conclusions: Eyeliner tattoos may be related to changes in the lid margin, loss of the MG, and thinning of the LLT.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