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학벤치 실험을 통한 단초점, 다초점, 연속초점인공수정체의 탈초점곡선 측정
Measuring Defocus Curves of Monofocal, Multifocal and Extended Depth-of-focus Intraocular Lenses Using Optical Bench Test
- 구용호(Yong Ho Koo) 이창수(Chang Su Lee) 김진수(Jin Soo Kim) 신민철(Min Chul Shin) 김은철(Eun Chul Kim) 김만수(Man Soo Kim) 황호식(Ho Sik Hwang)
- 대한안과학회
- 대한안과학회지
- 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1,number2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02
- 153 - 158 (6 pages)
목적: 광학 벤치 실험을 통해 단초점, 이중 다초점, 연속초점(extended depth of focus) 인공수정체를 비교하고 탈초점곡선을 측정하였다. 대상과 방법: 광학 벤치의 모델 눈에 세 종류의 인공수정체(TECNIS ZXR00, TECNIS ZMB00, ZCB00; Abbott Medical Optics, Inc., Santa Ana, CA, USA)를 각각 삽입한 후, Trial set에 +1.00부터 -4.00디옵터까지의 렌즈를 +0.25디옵터 단위로 삽입하여 대상을 촬영하여 얻은 상의 변화 양상을 관찰하였다. 기준 이미지(trial set에 렌즈를 삽입하지 않고 촬영한 이미지)와 비슷한 정도를 교차-상관계수로 정량화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이중 다초점인공수정체는 마이너스 디옵터가 더해질수록 상이 흐려지다가 근거리에서 상이 깨끗해지고, 탈초점곡선에서도 쌍봉분포(double peak appearance)를 보였다. 단초점인공수정체는 마이너스 디옵터가 더해질수록 상이 흐려지며 교차-상관계수도 감소하였다. 연속초점인공수정체는 쌍봉분포를 보이지 않았으나, 깨끗한 상을 보이고 높은 교차-상관계수를 보이는 디옵터의 범위가 단초점인공수정체에 비해 넓었다. 결론: 이중 다초점인공수정체는 촬영을 통해 얻어진 상과 탈초점곡선에서 전형적인 이중 초점의 양상을 보였으며, 단초점인공수정체는 마이너스 디옵터가 더해질수록 상이 흐려졌다. 연속초점인공수정체는 이중 초점의 양상을 보이지 않았으나, 단초점인공수정체에 비해 더 넓은 범위의 디옵터에서 깨끗한 상을 보였다.
Purpose: To determine the through-focus optical bench test performance of monofocal, bifocal, and extended depth-of-focus intraocular lenses (IOLs), and to measure their defocus curves. Methods: A model eye was placed on an optical bench to test three different IOLs (TECNIS ZXR00, ZMB00, and ZCB00; Abbott Medical Optics, Santa Ana, CA, USA). The focus was changed by inserting trial lenses from +1.00 diopters to -4.00 diopters, in increments of +0.25 diopters. The 1951 United States Air Force Resolution chart was used to determine the quality of the images. The degree of similarity with reference images was given by the cross-correlation coefficient, and defocus curves were drawn and compared. Results: Bifocal IOLs showed lower image quality with the addition of minus diopter trial lenses, but showed good image quality at near distance. Bifocal IOLs also showed a ‘double peak’ in their defocus curve. Monofocal IOLs showed a lower image quality and cross-correlation coefficient with addition of lower-diopter trial lenses. The extended depth of focus IOLs showed a single peak in their defocus curve, but had a wider range of diopters and better image quality than monofocal IOLs. Conclusions: Bifocal IOLs showed a double peak defocus curve, and extended depth of focus IOLs showed a wider diopter range and better image quality than monofocal IOLs.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