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639.jpg
KCI등재 학술저널

화이관(華夷觀)의 충돌, 18세기 중엽 조선과 일본의 사상 간극

A Study on the Collision of Sinocentrism, the Ideological Gap between Mid-18th Century Joseon and Edo Japan

  • 246

본고에서 필자는 18세기 중엽 일본의 죠슈[長門州]에서 벌어진 세 명의 조선학자와 일본의 고학자 다키[瀧鶴臺] 사이의 필담 논쟁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두 나라 사이의 양립 불가능한 사상적·문화적 차이가 있음을 논증했다. 그동안 조선통신사의 필담록 연구자들은 古學으로 전환한 에도 일본의 사상계를 진보적이라고 평가하고, 18세기후반까지 주자학을 고집했던 조선의 학문을 고루하다고 비판해왔다. 문제는 양국의 이러한 차이가 왜 나타났는지, 그 의미는 무엇인지 천착하는 일이다. 이에 필자는 양국 학자들 사이에 管仲을 둘러싼 王道와 覇道, 中華를 바라보는 보편주의와 가치상대주의라는 근본적인 관점의 차이가 있음을 강조했다. 조선의 주자학자들은 조선과 다른 에도 유학을 인정하면서도 ‘보편적 가치기준[義理]’을 설정하지 않는 古學의 ‘상대주의’ 경향을 매우 우려했다. 상대주의를 특징으로 한 에도의 학문은 일본의 특수성을 강조하는 역사주의를 견지하며 우승열패의 功利로 나아갈 가능성이 컸기 때문이다.

I analyzed the conversation by writing between three Joseon scholars and Japanese scholar, Daki-Kakudai[瀧鶴臺] in mid-18th century Nakato-shu[長門州], Japan. Through this analyze, I proved there are incompatible ideological and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countries. Until now, the researchers of Joseon missions to Japan evaluated the Edo Japan’s academic world-which turned to Kogaku study(古學)-as progressive, while criticizing Joseon’s academia-which persisted Neo-Confucianism until late 18th century-as outdated. What is important here is to figure out why such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have emerged and what they mean. To answer these questions, I stressed there is fundamental difference of view between the scholars of two countries which can be distinguished as ‘Universalism’ and ‘Relativism’ toward the issue of the rule of right(王道) and the rule of might(覇道) surrounding Guan Zhong(管仲), and the viewpoint toward Sinocentrism(中華). The Neo-confucian scholars of Joseon although accepted Confucianism of Edo-which was different from that of Joseon, but at the same time they concerned the relativistic tendency of classical study of not establishing ‘universal standard of value’. This was because the studies of Edo, which features relativism, was highly likely to move on to the axiom of survival of fittest, by maintaining historicism that emphasizes the distinctiveness of Japan.

1. 서 론

2. 長門州의 瀧鶴臺

3. 주자학과 소라이학의 대립

4. 管仲論

5. 정치의 목표, 國治民安

6. 일본식 華夷論

7.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