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의 역사에서 옹정시기(1723∼1735)는 청 초기의 강희와 건륭의 전성기를 잇는 시기였다. 옹정이 즉위한 것은 『황여전도』 제작 후 몇 년 지나지 않았을 시기였기 때문에 새로운 전국지도의 제작을 위해 전국적인 사업을 일으킬 필요가 없었다. 옹정시기의 전국지도 제작은 강희의 성과를 기초로 수정, 보충한 것이었는데, 특히 중국 내륙 지역에 행해진 대대적인 행정구역의 개편이 지도의 내용 변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지도 내용과 함께 옹정시기 지도 제작의 변화는 새로운 형태의 지도 탄생에서도 찾을 수 있다. 특히 소형의 전국지도는 시기별 행정 상황변화를 지도에 유연하게 반영할 수 있었다. 소형 전국지도의 탄생은 옹정시기 적극적으로 시행되었던 개토귀류 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청의 서남부 지역 소수민족 거주 지역에 단행된 이 정책의 적용 상황을 한 눈에 보기 위해 비교적 휴대와 열람, 그리고 빠른 시간 내에 제작이 가능한 소형 전국지도가 탄생하게 되었다.
Although Emperor Yongzheng (1723~1735) was emperor for only thirteen years he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link between his father, Emperor Kangxi, and his son, Emperor Qianlong. During his reign Yongzheng improved upon the national map Huangyuquantu that his father had completed, most notably reorganizing administrative districts of minority groups in the southwest region of the country. He also improved upon the map by creating a new form of the map, called 15sheng xiaozongtu which was smaller and more useable. This smaller map allowed for quicker and easier revisions to the districts and borders. The revisions to the 15sheng xiaozongtu map were mainly due to the policy called, gaituguiliu. The 15sheng xiaozongtu map was important in that it allowed the emperor to better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the newly reorganized districts.
1. 머리말
2. 『雍正十排全圖』의 제작
3. 옹정 시기 만들어진 『15省小總圖』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