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573.jpg
KCI등재 학술저널

상주박물관 소장 1리 방안 군현지도 연구

규장각ㆍ장서각본 비교 분석

  • 14

이 논문은 최근 상주박물관에 구입한 34매의 군현지도를 분석한 글이다. 서지 내용과 지도 형식 및 지리 정보의 묘사방법과 지명을 바탕으로 지도를 분석하였으며, 내용이 유사한 규장각과 장서각 소장본과의 비교를 통해 지도 발달사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도의 구성, 서지 정보 및 상주 지도를 사례로 한 묘사내용과 지명의 차이를 볼 때 세 기관의 지도는 서로 모사 관계이다. 지도 간 관계를 볼 때 상주박물관본은 규장각본을 바탕으로 제작된 것이며, 후에 이 지도를 기본으로 하여 장서각본이 제작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지도 주기의 호구(戶口) 기준 시점을 볼 때 상주박물관본은 1747년(정묘년, 규장각본)부터 1759년(기묘년, 장서각본)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상주박물관본은 규장각본과 장서각본의 중간 시점에 제작된 지도로, 조선 후기에 1리 방안 지도가 편집되어 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34 county maps of Gyeongsang Province, which is purchased recently by Sangju Museum. These maps are drawn on 1-ri grid systems and similar maps are reserved in Gyujanggak and Jangseogak Archives. Comparative analysis were proceeded with those maps in terms of map formation,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place names on maps. Conclusions are as follows. Those maps are duplicate with each other in terms of te×t and statistics on maps. Maps in Sangju Museum were drawn between 1747~1759. Maps in Sangju Musem were a copy-editon of maps in Gyujanggak, and originals of maps in Jangseogak. This shows the process of map-copy of manuscript edition in late Joseon dynasty.

1. 머리말

2. 상주박물관본 지도 개요

3. 규장각 및 장서각본과 비교

4.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