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해길과 강원도 원주목을 사례로『동여도』·『대동여지도』·『대동지지』에 나오는 길 정보의 정리 및 표시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김정호는 조선후기 우리나라의 길에 대한 대가로 알려진 신경준의 『문헌비고』와『도로고』보다 훨씬 자세한 길 정보를 정리하여 지도에 표시하였다. 둘째, 하지만 자세해진 길 정보 안에는 실제와 부합되지 않는 경우가 꽤 나타난다. 셋째, 잘못된 길 정보의 대부분이 김정호가 참고한 지도와 지리지의 여러 자료에 대한 비교·검토 과정에서 잘못된 선택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김정호의 작품 속에서 이렇게 새로운 오류가 발견된다는 사실은 그가 조선의 그 누구보다도 자세한 정보를 정확하게 정리하여 지리지를 편찬하고 지도를 제작하려 했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다. 또한 김정호는 자신의 지도에 표시된 위치 정보가 100% 정확하다고 인식하거나 주장한 적이 없음에도 근대 이후의 우리가 그렇게 믿어왔을 뿐이다.
This paper describes summary of information on roads and road marks written in 『Dongyeodo(Map of Korea)』· 『Daedongyeojido (Portable Map of Korea)』 and『Daedongjiji』 with examples of Pyeonghae Roads and Wonjumok in Kangweon Province. And the summary of description is as follows. First, Jungho Kim summarized information on roads in latter part of the Chosun Dynasty and marked it on the map in much more details than『Munheonbigo』 and『Dorogo』 made by Kyeongjun Shin who was known as a master of Korean roads. Second, the detailed information on roads, however, shows inconsistency with the real roads. Third, most of the wrong information on roads provided by Jungho Kim resulted from wrong choices he made when he compared and reviewed a variety of maps and geography books. The errors found in Jungho Kim’s maps demonstrate that he attempted to write geography books and create maps by accurately summarizing detailed information more than anyone else.
1. 서 론
2. 평해길 : 『대동지지』, 『문헌비고』, 『도로고』
3. 강원도 원주목
4.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