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679.jpg
KCI등재 학술저널

17세기《牧場地圖》의 제작경위와 화풍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Style of Mokjangjido in the 17th Century

  • 34

본고는 17세기 전반의 시대 상황과「목장지도후서」를 분석하여《목장지도》와《정색도》의 제작 경위를 살펴보고, 지도의 지지 내용과 마정 관련 사료를 바탕으로 제작시기를 구체화하였다. 《목장지도》는 17세기 馬政의 정책 수립에 활용하기 위하여 전국감목관에게 명하여 목장의 실태를 그림과 지리적 내용을 보고하게 하고 이를 토대로 정리 편찬된 것으로 그 사료적 가치가 높다. 1678년 제작된《목장지도》의 첨지 내용을 필사로 반영한《정색도》의 경우 제5면 仁川府의 紫燕島에 대한 주기“庚申閏八月 移屬御營廳”과 1684년 金壽興이 올린「論牧場箚」를 통해 전국 목장의 현황과 비교하여 그 제작시기가 적어도 1680년에서 1684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장지도》는 전국 목장의 지리적 현황뿐만 아니라 일반 전도와 군현도 형식의 지도에서는 상세히 다루기 어려운도서지역의 정보를 구체적으로 묘사하였다는 점에서 17세기 도서지역 연구와 마정에 대한 시각적인 자료를 상세하게 제공한다. 또한 도화서 화원의 솜씨로 당시 사복시에서 관장하던 진헌마와 전관 목장의 정황을 자세히 묘사하였고, 일반 군현도와는 차별적인 목장지역 회화식 지도의 진수를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회화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is aimed at review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style of Mokjangjido(牧場地圖) in the 17th Century. Mokjangjido, based on the real condition of horse farm reporting from every corner of the country, was made for strategy of horse farm policy at that time. Jeongsaekdo(正色圖) was estimated to be made from 1680 to 1684 by the descriptive writing of the 5th leaf and Gim Su-heung’s appeal to the horse farm policy. Mokjangjido is an exception of province maps as a visual data on the insular area and dedicated horses for royal family by palace painters.

1. 서론

2. 《목장지도》의 제작 경위

3. 《목장지도》의 구성과 제작시기

4. 《목장지도》의 畵風과 筆者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