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680.jpg
KCI등재 학술저널

<청구도> 이본 비교 시론

A comparative study on different versions of Cheonggudo

  • 38

<청구도> 이본을 대별하면 4가지 종류로 구분해 볼 수 있으며, 같은 종류의 이본 안에서도 일정한 차이점이 발견되어 자못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청구도> 이본은 김정호의 고민뿐만 아니라 19세기 전반의 지도 제작과 소비 경향을 밝혀줄 수도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청구도>에 다양한 이본이 있고 같은 계열의 이본에도 일정한 차이가 있다는 점은 지도 수요층의 기호가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이는 19세기 조선 사회에서 지도를 소비하는 사람의 기호가 다양한 것이었으며, 김정호 등 지도제작자와 지도 전사자들이 이를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음을 반영한다.

Several editions of Cheonggudo is classified into 4 kinds, each edition also having some differences. Various editions of Cheonggudo could be an important evidence showing some trends of making and consuming maps in the 19th century. Diversity of editions of Chenggudo and some differences in the same edition shows there were diverse preferences in consumption of maps in those days, which the mapmakers like Kim Jeongho and the copiers of maps couldn t help keeping in mind.

Ⅰ. 머리말

Ⅱ. <청구도> 제작의 배경

Ⅲ. <청구도> 이본의 검토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