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19세기에 유행한 회화식 군현지도를 중심으로 그 제작배경과 용도, 화가와 화풍의 문제를 고찰하였다. 18세기 이후 정부차원의 공적인 전국 군현지도집으로부터 군현에서 공적으로, 사적으로 제작된 독립형식의 군현지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도들이 제작되었다. 그 가운데 독립형식의 군현지도는 지도의 내용과 구성, 형식과 소재, 표현기법과 수준 면에서 전국규모의 군현지도집에 실린 지도와 구별되는 면모를 보여준다. 독립 형식의 군현지도에 담겨진 군현의 모습과 세부내용, 표현의 특징 등은 지도의 제작동기와 용도, 수요자와 제작자, 지방문화 등 많은 요인들이 작용한 결과로 나타났다. 19세기에 유행한 독립형식의 회화식 군현지도에는 군현의 전모가 대규모 화면에 감상회화에 준하는 세련된 표현으로 재현되었다. 이것은 곧 지도의 새로운 용도와 기능, 지도에 대한 인식이 변화된 것을 말해준다. 이러한 지도들은 공적인 면에서는 관료들을 위한 통치의 자료로서 활용되었고, 때로는 동일한 지도라도 사적인 소유물이 되는 등 19세기 이후 군현지도와 관련하여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그리고 지도의 표현에도 새로운 요소와 형식, 표현이 도입되었다. 군현의 경관을 그리면서 지방관의 행차와 순력, 행사 장면을 넣는가 하면 산수화의 기법을 차용하여 아름다운 감상화와 같은 효과를 자아내었다. 이는 지도가 더 이상 행정과 통치를 위한 공적인 수단만이 아니라 장식하고 감상하며, 기념하기 위한 대상으로 변화된 것을 시사한다. 19세기 회화식 군현지도에 나타난 변화는 화원이 지방관이나 화사군관으로 파견되었던 제도적인 요인과도 관련이 있다. 중앙화단에서 활동하던 화원들이 지방에 파견되는 일이 잦아지면서 회화성이 강조된 지도가 등장되는 배경으로 작용하였던 것이다. 규장각 소장의 <전주지도>에 나타난 화풍 상의 특징을 통해 18세기 중엽 경 김희성이라는 당대 최고의 화원이 그린 작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주지도>는 나라 최고의 기량을 갖춘 화원이 지도제작에 관여한 구체적인 사례로서 주목된다. 다음으로 동래지도를 중심으로 지역 변박과 이시눌 등 지역출신 화가의 활약을 살펴보았으며, 양식 분석을 통하여 동아대학교 박물관 소장의 <동래지도>가 이시눌의 작품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여러 종류의 동래 지도들을 비교하여 이 작품들 사이에 화풍 상의 연관성이 뚜렷하다는 사실을 토대로 동래 지역의 지도에 있어 화풍의 전수가 일어난 것을 지적하였다. 이는 동래 지역 특유의 문화가 작용하여 나타난 현상이다. 또한 진주지도를 중심으로 이 지역에서 활약하였던 김윤겸화풍의 영향 문제를 지적하였다. 현존하는 진주지도들에 구성과 내용, 소재의 공통점이 존재한다는 사실과 김윤겸화풍의 특징을 공유한다는 사실을 구명하였다. 진주지도의 구성과 소재, 화풍 등은 동래지도와는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지역에 따라 고유한 전통과 화풍이 존중되는 현상이 있었고, 회화식 지도가 지방문화의 다양한 면모를 구명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임을 의미한다. 이 논고를 통해 고지도의 연구에서 있어 미술사적 방법론이 활용될 수 있음을 구명하였다는 사실을 지적하면서 글을 마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usage, artist, style of the pictorial map of provinces of the 19th century, and the circumstances in which it was made in. Starting from the 18th century, many maps were made, ranging from official maps regarding the whole nation to officially or personally made independent form maps on separate provinces. Of these, the pictorial map of provinces made by the independent form shows much difference, compared to maps that were included in the nation scale pictorial map compilation book, in content, form, material, and expression. These differences owe to many reasons, such as the purpose of its creation, the reason of its usage, the maker of it, the client who ordered it be made, and tradition of the province in which it was made in. In the pictorial map of provinces by the independent format, every details of a province were described in a sophisticated expression. This change in format reflects the fact that the people then recognized a need for more functions in a map. These maps were basically used as a tool for effective governing. but sometimes they were personally owned. The new maps were not only practical, but also aesthetic. Details, such as the marching parade of the provinces government official, were described. Landscapes were beautifully drawn, by using the landscape painting style. These maps were not only tools for governing, but also a work of an well worth appreciating. These changes in maps have much to do with government system s systematic reality of the 19th century. Then, the court painters who worked for the court were sent to provinces more frequently than before. As a result, the aesthetic side of a map was emphasized. By researching the style in which The map of Jinju . in the collection of Gujanggak was represented by, it could be confirmed that Gim Hi-seong, a prominent court painter of the time, made that map in the mid 18th century. This is a significant proof of the trend mentioned above. The map of Dongrae in the collection of Donga University museum is also a proof of this trend. By analyzing it,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map was represented by Yi Si-nul, a provincial artist. And through comparison of many different maps classified as map of Dongrae , this indicates the fact that inheritance of art style between the makers of these maps took place then. This tendency owes much to the unique culture of the Dongrae area. The influence of Gim Yun-kyoum s painting style is also analysed, mainly through proving the similarity of format, content and material in the existing maps classified as map of Jinju . Map of Jinju shows clear difference with map of Dongrae . This proves that different provinces appreciated it s own unique tradition and artistic style. By evaluation of this differences, we can acknowledge the diverse traditional aspects of different provinces. Art historical methodology can be used as a vital tool in researching traditional maps. This research is a firm proof of that fact.
Ⅰ. 머리말
Ⅱ. 회화식 군현지도의 제작배경
Ⅲ. 화원의 지방파견과 군현지도의 제작
Ⅳ. 군현지도를 통해본 지방화풍의 형성과 전수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