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791.jpg
KCI등재 학술저널

신산서원 관련자료 - 자료해제와 원문표점

Reference for Sinsan Confucian Academy - Interpretation of the reference and modern punctuation marks to the original text

  • 77

이것은 新山書院 관련자료를 모아서 원문에다 현대식 표점을 하고, 그 자료의 성격과 의의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도모하는 해제를 붙인 것이다. 신산서원은 曺植(1501∼1572)과 申季誠(1499∼1562)을 並享하는 南冥學派의 중심서원으로 일찍이 사액이 된, 전국적인 영향력을 가진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서원이었다. 그러나 인조반정 이후 북인정권의 몰락과 함께 그 성세가 크게 하락하여, 김해 일원 유림들이 출입하는 지방의 한 서원으로 그 명맥을 유지하다가,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고 말았다. 그 뒤 김해지역 유림들이 山海亭을 중건해서 조식을 향사하다가, 최근에야 산해정을 모체로 신산서원을 복원하여 조식과 신계성을 병향하고 있다. 따라서 조선조와 근대에 이르기까지 건물의 유지와 보수, 향사 등 서원의 면모를 유지하는 최소한의 활동 외에 다른 사업을 추진할 여력을 갖기 어려웠다. 당연히 서원의 연혁, 활동, 운영 등 그 역사를 담은 書院誌가 남아 있지 않고, 또 신산서원 관련 고문서 등도 거의 남아 있지 않다. 지난 2008년에 「南冥 曺植 遺蹟 小考(Ⅰ)」(이상필, 『대동한문학』29, 대동한문학회)가 발표되어 산해정과 신산서원 연혁에 대한 세밀한 고증작업이 이루어지고, 또 2017년에 『신산서원지』(김경수, 글로벌콘텐츠)가 간행되어 그 연혁, 향사인물, 활동, 운영 등에 대한 많은 자료가 취합되고 번역되어 산해정과 신산서원의 면모가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그리고 그에 의거해서 기존의 자료들을 새롭게 이해하고, 또 새롭게 발굴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되었다. 여기서는 앞선 두 성과를 토대로 그에 추가해 볼 자료를 소개해 보려고 한다. 먼저 관련자료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도모하는 해제를 붙인 다음, 이어서 그 자료를 현대식으로 표점을 해서 들어보려고 한다. 들어볼 자료는 新山同話錄 2건, 新山書院立規 1건, 新山書院 堂齋名號 관련자료 2건, 新山書院 參慕錄 1건, 新山書院 祗謁錄 1건의 7건이다.

This paper presents a collection of references for Sinsan Confucian Academy by adding punctuation marks to the original text and interpreting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said references in a way that can promote understanding. Bestowed the Title Boards from the King from the early period, as it was the central academy of the Nammyeong School that held memorial services for both Jo Sik (1501-1571) and Shin Gye Seong (1499-1562), Sinsan Confucian Academy was one of its kind in the Joseon Dynasty, which spread influence on a national scale. The country’s prosperity, however, diminished considerably with the fall of the Northerners after Injo Coup. Since then, Sinsan Confucian Academy maintained its existence as a local academy with Confucian scholars from the Gimhae area only, but it was ruled out because of the Confucian academy abolition order made by Heungseon Daewongun. Later, Confucian scholars in the Gimhae region rebuilt Sanhaejeong. It was not until recently that Sinsan Confucian Academy was restored with Sanhaejeong as its parent and hosted memorial ceremonies for both Jo Sik and Shin Gye Seong. Therefore, the academy remained functional on a minimum level for such functions as building maintenance and holding memorial services until the Joseon Dynasty and the modern period. Consequently, there has been no remaining record on the Confucian academies that contains their history, activities, and operations, nor any other ancient documents related to Sinsan Confucian Academy. In 2008, when the Ancient Record on Nammyeong Jo Sik I (by Lee Sang Pil, Daedong Chinese Classics No. 29, Daedong Chinese Classics Association) was issued, extensive historical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history of Sanhaejeong and Sinsan Confucian Academy. In 2017, when the Journal on Sinsan Confucian Academy was published (by Kim Gyeong Su, Global Contents), many references were collected and translated, including history, target objects for memorial services, activities, and operations, resulting in unleashing new aspects of the two academies. It also paved the way for reaching a new understanding and discovering the existing materials. This paper will introduce additional references on top of the preceding two achievements. First, it will analyze them in a way that can promote understanding and will add modern punctuation marks in them. A total of seven references will be studied, including two from the History of Sinsan, one from the Legislation of Sinsan Confucian Academy, two references on Sinsan Confucian Academy Dangjaemyeongho, one from Record of Advisor of Sinsan Confucian Academy, and one from Record of Reverence of Sinsan Confucian Academy.

Ⅰ. 자료개관

Ⅱ. 자료해제, 조선조 김해지역 문풍과 신산서원

Ⅲ. 신산서원 관련자료, 원문과 표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