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885.jpg
KCI등재 학술저널

독서가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Macroeconomic Impact of Book-Reading

  • 54

책이라는 문화상품을 서비스로 전환시키는 활동이 독서이다. 개인적 활동인 독서는 지식수준을 높이고 직장에서의 업무 효율성을 높일 뿐 아니라 사회적 통합과 같은 외부효과를 발생시킨다. 그간 독서가 사회적으로 중요하다는 피상적 인식 수준에서 나아가 학술적으로 실증하거나 접근한 연구가 드물었다. 본 논문은 경제활동 밖에서 이루어지는 독서 활동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Bhattacharya et al.(2013)의 분석 모형을 준용하여 독서활동과 인적역량을 연계하고 인적역량을 내생화한 동태 일반균형모형을 사용하여 독서의 경제적 기여도를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독서가 노동공급을 줄여는 효과가 있었지만 이를 상쇄하고도 인적역량 강화를 통해 경제 전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구체적으로 독서율 1%p 상승 시 노동자의 인적역량은 0.22%, 인적투자량은 0.21% 상승했다. 또한 총여가시간은 0.001% 상승하고 그 만큼 노동시간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quantitatively analyzes the effects of reading on the macroeconomics and examines the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Korean Reading Culture Promotion Act, a basic plan for promoting reading culture and various policies for promoting reading are being implemented every five years. This study analyzes the ramifications of reading to macroeconomics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using macroeconomic model to provide an answer. The analytical model is a dynamic general equilibrium model that endogenous the human capacity of labor supply by applying the model of Bhattacharya et al. (2013). This study examines whether reading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macro economy by reducing labor supply or positive effects through strengthening human capacity. As a result, when reading rate increased by 1%p, total real production, total real consumption, total real capital, total real investment and total employment increased. Workers capacity rise 0.22%, and human investment rise 0.21%. In addition, total leisure time increased by 0.001% and working time decreased by 0.001%.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s interpreted as a result of suggesting the economic validity of the policy of promoting reading culture. In addition, the fact that reading has a positive ripple effect on the economy despite reducing working hours and increasing leisure time suggests that reading culture promotion policy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labor input.

Ⅰ. 서론

Ⅱ. 기존 연구 검토 및 독서율 현황

Ⅲ. 분석모형

Ⅳ. 실증 분석 및 결과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