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전남 강진만 연안에서 부유성 난 및 자치어의 계절분포

Distribution of Ichthyoplanktons in Gangjin Bay, Korea

  • 124
150935.jpg

전라남도 강진만 연안의 수질환경 및 군집구조의 변화를 13년 전의 연구와 비교 분석하고자 2015년 2월, 5월, 8월, 11월까지 총 4회에 걸쳐 강진만 연안에 출현하는 부유성 난 및 자치어를 채집하였다. 이 연구에서 출현한 어류는 총 5목 14과 18개의 분류군 485개체/1,000 ㎥이 출현하였고, Park (2002)에서는 5목 16과 24개의 분류군 2,699개체/1,000 ㎥로 이 연구에서 적은 분류군과 개체수가 출현하였다. 우점종에 있어서 이 연구에서 전어가 133개체/1,000 ㎥로 27.42%, 주둥치가 62개체/1,000 ㎥로 12.78%, 조피볼락이 56개체/1,000 ㎥로 11.55%, 준치가 55개체/1,000 ㎥로 11.34% 순으로 우점하여, 과거 Park (2002)의 연구에서 진행되었던 우점종인 풀망둑, 주둥치, 베도라치, 흰줄망둑과 차이를 보였다. 종 풍부도 지수 및 다양도 지수를 비교해 볼 때, 유사한 값을 보였으며, Park (2002)의 연구에 비해 8월과 11월의 풍부도 및 다양도 지수는 상대적으로 높았다. 봄과 여름인 5월과 8월에 63.80%로 가장 가까운 종간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ichthyoplanktons were sampled during four different months (February, May, August, and November, 2015) to study distribution of the ichthyoplankton in the Gangjin Bay. During the study, the collected fish eggs were identified as belonging to 7 species. The most of dominant species Engraulis japonicus were accounted for 31.22% of the total fish eggs, followed by the others (25.17%) and Konosirus punctatus (16.09%) and Leiongnathus nuchalis (15.96%). The larvae and juveniles were identified into 18 taxa. The dominant species Konosirus punctatus accounted for 27.42% of the total larvae and juveniles, followed by Leiognathus nuchalis (12.78%), Sebastes schlegelii (11.55%) and Ilisha elongata (11.34%). These 4 taxa constituted 63.09% of the total collected larvae and juveniles.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 과

고 찰

요 약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