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고용을 위한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Job Rehabilitation Facility Workers for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 한국지역복지정책연구회
- 지역복지정책
- 제30집
-
2019.1219 - 34 (16 pages)
- 201

이 연구는 장애인에 대한 성공적인 직업재활시설의 교육과 정책적 지원을 위하여 소외되고 있는 장애인이 근로를 통한 자존감 회복과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장애인 직업시설은 일반 작업환경에서는 특별히 준비된 작업환경이 아닌 조건에서는 일하기 어려운 것이 장애인이다. 직업훈련을 통하여 직업교육을 받거나 작업활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된 시설로써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인식이 장애인고용에 대한 영향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인 교육을 담당하는 젊은 인적자원의 육성이 필요하다. 둘째, 종사자의 전문성이 보다 높게 제고 되어야 한다. 셋째, 장애인의 안정적인 생활이 요구된다. 넷째, 장애인교육시설에서의 종사자의 적극적이고 헌신적인 역할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tore self-esteem and improv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work of the disabled who is being neglected the successful education and policy support of job rehabilitation facilities. A job facility for the disabled is a facility that allows disabled people to receive vocational training or live a working life in a specially prepared work environment, so the perception of workers at job rehabilitation facilities is very significant.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foster young human resources in charge of education for the disabled. Second, the professionalism of workers should be raised higher. Third, a stable life is required for the disabled. Last, active and dedicated roles of workers are required in educ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및 분석
Ⅳ.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