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nd Effects of a Depression Management Program Based on Reminiscence Therapy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 Individual Home Visit Programs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 Vol.16 No.1
-
2020.0137 - 50 (14 pages)
-
DOI : 10.14251/crisisonomy.2020.16.1.37
- 202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사회적인 위기로 대두된 독거노인의 우울을 관리하기 위하여 회상요법을 기반으로 한 우울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독거노인에게 적용하여 자아존중감, 우울, 자살경향성에 대한 효과를 검정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우울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독거노인에게 적용한 후 이에 대한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회상요법을 기반으로 한 우울관리 프로그램을 독거노인에게 적용한 결과, 우울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우울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자아존중감 정도는 높게 나타났고, 우울 및 자살경향성 정도는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회상요법을 기반으로 한 우울관리 프로그램은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은 향상시키고, 우울 및 자살경향성은 감소시키는 효과적인 중재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처치 직후의 효과만 측정하였으므로 앞으로 반복적인 측정을 통해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을 검정하는 장기적인 추후연구가 이루어지기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o manage the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who live alone, which is now considered as a national and social crisis in South Korea. This study uses a similar experimental and retrospective before-and-after design with non-equivalent controls for a depression management program for the elderly who live alone.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depression management program showed higher self-esteem and lower depression and suicide tendency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e depression management program was found to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that improves self-esteem and reduces depression and suicidal inclination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Since the effect was measured immediately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it is suggested that a long-term follow-up study should be conducted to verify the persistence of the effect through repeated measurement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 론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