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Movie-based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 on Attitudes toward Mental Illness among University Nursing Students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 Vol.16 No.1
-
2020.0193 - 103 (11 pages)
-
DOI : 10.14251/crisisonomy.2020.16.1.93
- 186

정신보건법 개정 이후 정신질환자 탈원화와 지역사회 유입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최근 정신질환자에 의한 살인 사건이 잇따르면서,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신질환자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영화기반 정신질환 인식개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예비의료인인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하여 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위한 영화기반 정신질환 인식개선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고,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영화기반 정신질환 인식개선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정신질환자에 대한 권위주의, 사회생활 제한 점수가 감소하였고, 자비심, 지역사회정신보건 이념 점수가 증가하였다. 영화기반 정신질환 인식개선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변화에 효과적인 중재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국민적 인식개선을 위하여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확대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개인의 성향 차이를 고려하고 반복측정을 통해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을 검정하는 추후연구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 movie-based program to university nursing students to improve their negative awareness of mentally ill persons. The study used a quasi-experimental pretest-posttest design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The program decreased the scores of authoritarianism and social restrictiveness toward mentally ill persons and increased the scores of benevolence and community mental health ideology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e movie-based mental illness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 was found to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in improving the attitude of university nursing students toward mentally ill pers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this program to various groups to promote national awareness.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long-term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consider individual personality differences and verify the persistence of the effects through repeated measurement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 론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