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954.jpg
KCI등재 학술저널

Information Construction for Predicting Accident Risks in Vulnerable Facilities in Prevention of Chemical Terrorism and Accidents

DOI : 10.14251/crisisonomy.2019.15.12.129
  • 25

화학사고 관련법이 지속적으로 개정됨에 따라 화학사고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화학사고는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으며 그 피해규모는 감소하지 않고 있다. 화학사고를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화학공정 및 시설에 대한 정보를 빠르게 확보하여 이에 따라 효과적인 대응을 수행해야 하지만, 현재 화학공정 및 시설 정보가 체계적이지 않아 구체적인 방침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주요 유해화학물질, 화학공정 및 단위시설에 대한 안전조치 정보카드 개발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사고 사례 및 국내에서 많이 유통되는 화학물질을 기반으로 총 9종의 물질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해당 물질을 취급하는 총 51종의 화학공정을 선정하였다. 이에 더하여, 화학사고 위험요인 및 관련정보 등을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위의 연구결과를 재조합, 요약 후 핵심 프로세스 정보, 예방 조치 및 대응 방법이 포함된 51종의 화학사고 대응 카드를 제작하였다. 이 화학사고 대응카드는 해당물질 및 시설 등을 취급하는 사업장과 비상기관 대응자에게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Despite changes in public perception and continuous revision of laws related to chemical accidents, chemical accidents are continually occurring and the damage scale is not decreasing. In order to effectively cope with chemical accidents, it is required to strengthen the response system for chemical accidents, which quickly obtains information on chemical processes and respond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afety information cards which describe the chemical processes of major hazardous chemicals. A total of nine substanc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accident history in South Korea. In addition, the accident risk factors and related information for 51 chemical processes and facilities were determined. By reconstructing and summarizing the results, we then produced the “chemical accident response card” for each chemical process containing key process information, preventive measures, and response methods. These cards can serve as useful materials for business sites dealing with hazardous materials and emergency agency staff.

Ⅰ. 서 론

Ⅱ. 화학사고 취약 물질·공정 선정

Ⅲ. 화학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조치사항 및 사고대응방안 마련

Ⅳ. 화학사고 대비·대응 안전조치 정보카드

Ⅴ.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