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호동서락기> 이본 『금원집(錦園集)』 연구

A Study on Kumwonjip(錦園集), Versions of Hodongseorakgi(湖東西洛記)

  • 476
150952.jpg

이 글은 <호동서락기>의 이본인 『금원집』을 처음 소개하고 이를 연대본 <호동서락기>와 비교 분석하여 그 특성을 드러낸 뒤, 이를 금원과 관련된 자료들과 함께 종합적으로 분석, 검토한 것이다. 이화여대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금원집』에는 <호동서락기>와 금원의 시 두 편, 죽서의 시 한 편과 죽서에 대한 소개가 실려 있다. 『금원집』 수록 <호동서락기>는 연대본에서는 한 번도 언급하지 않은 기녀 금앵의 존재를 밝히고 있고, 운초, 죽서, 경춘 등 금원이 삼호정시사에서 함께 한 여성 시인들의 평문과 발문이 없다. 또 이대본 <호동서락기>의 서문과 연대본의 서문은 취지는 비슷하지만 분량과 내용 면에서 차이를 드러낸다. 이대본은 여성에 대한 규제를 비판하면서 뛰어난 업적이나 행동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피력하고 진덕여왕, 허난설헌 등 문학에서 뛰어난 성취를 남긴 여성을 높이 평가한 데 비해 연대본은 중국 고사나 유교 경전을 인용하면서 여행을 하는 이유나 여성이 여행을 하지 못하는 이유, 자신이 여행을 하려는 이유를 전개한다. 또 두 이본 사이에 자구와 표현의 차이가 나타난다. 이로 미루어 이대본이 현재 전하는 연대본 <호동서락기>가 아닌 다른 이본을 보고 필사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금앵의 존재를 밝히고 있는 것으로 보아 금원 사후에 성립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19세기 남성 문인들이 기록한 금원 관련 자료는 금원이 기녀로 활동했을 당시의 일을 중심으로 기록되어 있는 반면, 금원 자신의 기록이나 금원 집안사람들의 기록에는 기녀 관련 기록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이는 시인으로 기억되려는 금원과 기녀 시인으로 기억하려는 당대의 평가를 반영하는 것으로 『금원집』과 연대본 <호동서락기>는 이러한 두 경향을 텍스트로 보여주고 있다.

This article introduces Kumwonjip錦園集 for the first time and tries to compare it with another version, Hodongseorakgi in the Yonsei University Library to reveal their characteristics, and then analyzes and reviews them together with the records related to Kumwon. Kumwonjip, which is in the Ewha Womans University Library, contains Hodongseorakgi, two poems of Kumwon and a poem of Jukseo竹西 with the introduction of Jukseo. What is noticeable about Kumwonjip is that its Hodongseorakgi tells about Kumaeng錦鶯, a courtesan who was never mentioned in the Hodongseorakgi in the Yonsei University Library. Another important thing is that Kumwonjip does not include any reviews of the female poets like Uncho, Jukseo, and Kyungchun who were gathered with Kumwon in Samhojeong. While the preface of Hodongseorakgi in the Ewha Womans University Library and the preface of Hodongseorakgi in the Yonsei University Library are similar in purpose, they show differences in quantity and content. The preface of Hodongseorakgi in the Ewha Womans University criticizes women s regulations and expresses the idea that outstanding achievements and actions of women are important, praising women such as Queen Jindeok and Heonanseolheon who have made outstanding achievements in literature. On the other hand, the preface of Hodongseorakgi in the Yonsei University Library quotes the Chinese testimony or the Confucian scriptures, and explains why people travel, why women cannot travel, and why they want to travel. These two prefaces also shows difference in the phrases and expressions. Considering these, it follows that Hodongseorakgi in the Ewha Womans University might copy another version other than Hodongseorakgi in the Yonsei University Library and it might be written after the death of Kumwon. While the records of Kumwon written by male writers in the 19th century focus on the life of Kumwon as a courtesan, the writings by Kumwon herself and her family do not tell about the life of a courtesan. Kumwonjip and Hodongseorakgi in the Yonsei University Library also seem to reflect these trends.

1. 머리말

2. 『금원집』의 서지적 특성과 <호동서락기>와의 비교

3. 금원에 대한 평가와 기녀 시인의 자리

4. 맺음말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