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초반에 활동한 소론계열의 핵심 인물 중 한 명인 곤륜 최창대(1669~1720)의 누정시를 고찰함으로써 그의 누정시가 갖는 시대사적 의의를 찾아보고자 기획된 글이다. 먼저 최창대가 누정시를 창작한 시기와 그 창작배경에 주목하여 최창대에게 누정은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를 살펴보았다. 최창대의 누정시 창작시기와 그 창작배경을 보면, 대부분이 부친 최석정, 숙부 최석항, 외삼촌 이인엽, 외사촌 동생 이하곤 등의 일가친척이나 홍세태, 이하영 등 지우와 함께 하며 지은 것들이다. 이러한 사실에서 최창대에게 누정은 일가친지(一家親知)를 볼 수 있고 함께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인식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최창대가 그 이전의 문인들의 누정시에서는 좀처럼 볼 수 없었던 악부시라는 형식으로 누정시를 창작하였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악부시로 지은 시 두편(<초연대가>와 <문월정가>)을 살펴보았다. 최창대는 누정에서 느끼는 자신의 정감을 악부시를 활용해 좀 더 자유롭게, 모의나 답습에서 탈피한 개성적인 표현과 내용으로 시를 지었다. 여기에서 최창대에게 누정은 스스로 즐거움을 찾는 자락(自樂)의 공간으로 인식된다. 17세기 후반부터는 누정을 개인적 일상을 즐기는 공간으로 보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자락의 공간이 강조된다. 그리고 18세기 한시의 새로운 경향 중의 하나는 개성의 추구와 변화의 시도이며 그러한 양상은 시의 내용이나 서정, 시체의 선택, 작풍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나타나는데, 최창대가 악부시로 지은 누정시에서 그러한 일면을 찾아볼 수 있다. 이처럼 최대창의 누정시는 17세기 후반의 누정에 대한 변화된 인식을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18세기 한시의 새로운 경향의 일면을 엿볼 수 있게 한다.
This study is planned to consider the arbor poetry of Gollyun Choe Changdae (1669~1720), one of the key figures of Soron who worked actively in the late 17th century till the early 18th century and find the periodic meanings of his arbor poetry. First, paying attention to the time when Choe Changdae created his arbor poetry and the background of his creation, this article has examined what the arbor meant to Choe Changdae. Considering the time when Choe Changdae created his arbor poetry and the background of his creation, we can see that most of the poems were written when he was with his family or relatives, including his father Choe Seokjeong, uncle Choe Seokhang, maternal uncle Lee Inyeop, maternal cousin Lee Hagon, or close friends like Hong Setae or Lee Hayeong. This fact allows us to conclude that for Choe Changdae, the arbor was space where he could see and be with his family or relatives. Next, focusing on the fact that Choe Changdae created his arbor poetry in the form of Yue-fu poetry (樂府詩) which can be hardly found in arbor poetry written by previous literary persons, this paper has examined two pieces of poems, <Choyeondaega> and <Moonwoljeongga>, written as Yue-fu poetry. Choe Changdae wrote his poems about the feelings he had in the arbor more freely with unique expressions and contents getting out of imitating or sticking to an old tradition using Yue-fu poetry. Here, the arbor was recognized by Choe Changdae as the space of Jarak (自樂) to find pleasure on one’s own. From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there was a noticeable trend that the arbor was regarded as space to enjoy everyday life personally, and the space of Jarak was stressed. One of the new trends of Chinese poetry in the 18th century is to pursue one’s personality and try new things, and this kind of aspect is found in various ways such as a poem’s contents, lyricism, the choice of poetic styles, or writing styles. Part of that can be found in Choe Changdae writing his arbor poetry as Yue-fu poetry. As written above, Choe Changdae’s arbor poetry not only shows us his changed consciousness about the arbor in the late 17th century but also lets us glance at the new trend of Chinese poetry in the 18th century.
1. 서론
2. 곤륜의 누정시 목록과 그 창작 배경
3. 일가친지를 만나 함께 할 수 있는 공간 - 누정
4. 자락(自樂)의 공간: 악부시로 창작된 누정시 2수 - <초연대가>, <문월정가>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