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974.jpg
KCI등재 학술저널

‘任那日本府’에 대한 고찰

A Study on Imna-ilbonbu: focused on the characters related to imna-ilbonbu in Ilbonseogi

  • 435

본고는 『日本書紀』에 나오는 임나일본부 관련 인물의 분석을 통해 6세기 임나일본부에 대한 실상을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임나일본부에 대해서는 가야를 중심으로 하여 가야와 왜의 관계로 해석해온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任那日本府는 소위 임나일본부 관인의 출신계통을 통해 그 실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임나일본부가 백제의 통제를 받고 있다는 사실로부터 그 실상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즉, 任那日本府와 관련 있는 인물의 분석을 통해 이들이 원래는 백제인을 조상으로 하는 인물이면서 백제에 의해 주도된 倭系百濟官僚였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다. 『日本書紀』 欽明紀의 전체 기사를 통해 보면 日本府 관인들에게 왜왕이 직접 명령을 하지 못하고 백제를 통하여 의사를 전달하고 있으며 日本府 관인들이 백제의 통제를 받고 있는 것도 이들이 百濟官僚라는 사실과 무관하지 않다. 즉, 日本府에 속한 인물들이 백제 왕권과 직접적으로 관련을 맺고 있었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따라서 임나일본부는 백제가 고구려와 대항하기 위해 백제와 가야, 신라 및 왜와 공동전선을 구축하는 완충의 역할로서 동시에 가야 지역을 자신의 통제 하에 두고 신라를 견제하는 정책에서 나타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6th-century history of Imna-ilbonbu, a region in the south of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characters described in Ilbonseogi. Imna-ilbonbu has been previously analyze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aya and Yamato Wa, focusing primarily on Gaya. However, in examining the historical figures related to Imna-ilbonbu, this paper shows that their original ancestors were Baekje’s people. Analysis of Ilbonseogi also demonstrates that Wa’s king did not directly rule Imna-ilbonbu and that he communicated his intentions through Baekje, and that Imna-ilbonbu was in fact under the control of Baekje. Ultimately, the historical figures related to Imna-ilbonbu were also directly related to the Kingdom of Baekje.

Ⅰ. 머리말

Ⅱ. 任那日本府 관련 諸說의 문제점

Ⅲ. 任那日本府의 용례와 倭人의 역할

Ⅳ. 任那日本府 관련 인물에 대하여

Ⅴ. 百濟의 加耶 진출과 任那日本府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