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장애인의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요인, 직장관련 요인, 사회적지지 요인, 여가생활 요인, 장애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6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카이제곱 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회귀분석에 기초해 정리하면, 성별, 근로시간 만족도, 가족 지지자수, 친인척 지지자수, 외식비, 장애 정도가 장애인의 음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성인 경우, 근무시간 만족도가 높을수록, 가족 지지자수가 적을수록, 친인척 지지자수가 많을수록, 외식비가 많을수록, 장애 정도가 경증인 경우에 음주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장애인의 음주 관련 제언을 전달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rinking of the disabled, focusing on sociodemographic factor, job-related factor, social support factor, leisure activities factor, and disability factor. For this purpose, the 2016 Disability Employment Panel Survey was used for the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In summary, gender, working time satisfaction, family supporters, relative supporters, eating out expenses, and degree of disabil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working hours, the fewer family supporters, the more relative supporters, and the higher the cost of eating out, the more drinking. In addition, men and people with milder disabilities were more likely to drink alcohol.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delivered suggestions for reducing alcohol consumption of the disabled.
I. 서론
II. 선행연구 고찰: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