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065.jpg
KCI등재 학술저널

Qu’a apporté l’image aux contes traditionnels publiés en Corée depuis les années 1990?

DOI : 10.18812/refc.2020.91.222
  • 23

1988년이 한국 아동도서 시장에 그림책이 진출한 중요한 시기로 간주되고 있는 만큼, 최근 수십 년간 이런 류의 창작물, 특히 한국 전래동화 그림책에서 그림이 아닌 이미지가 확산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문제가 제기된다. 수없이 많은 판본에서 사용됨으로써 이들 한국 전래동화들이 의미 측면에서 점점 가치를 잃어가고 있기에 그렇다. 해서, 이 글에서는 이미지의 사용이 어떤 점에서 이들 전래동화의 재의미화를 가능하게 하는지를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구렁덩덩 새선비』, 『해님 달님』, 『해와 달이 된 오누이』, 『호랑이와 팥죽할머니』, 『빨간 부채 파란 부채』, 『토끼와 자라』 등 아주 잘 알려진 동화를 담은 그림책 여섯 종을 선정하였다. 그것들을 대상으로 그림작가들에 의해 사용된 다양한 도상 기제들을 살펴서 이들 그림작가들이 시각적 역조응을 활용하였음을 밝혔다. 이 시각적 역조응의 활용이 한국전통요소 몇몇의 자율화에 의해서 이루어지든, 한지의 도움으로 눈에 띄지 않게 질료를 종이에 넣음으로써 이루어지든, 분리가 눈에 띄는 결과를 낳을 위험이 있는 색깔 쌍의 사용을 통해서 이루어지든, 또는 이야기 내내 핵심적인 서술상의 중요성을 가지게 될 장식적 모티브의 반복을 통해서 이루어지든 말이다. 그림작가들은 또한 몇몇 상징 사용들의 전환이나 색깔과 모티브 사이의 어떤 관계들의 전이, 뿐만 아니라 단색의 표면을 살리기 위한 색깔의 비물질화에도 관심을 보인다. 이것들이 모두 서술의 재의미화를 보장하기에 적합한 기제들이다.

Si l’album est entré sur le marché coréen du livre pour enfants en 1988, la question est de savoir si l’image s’y est répandue ces dernières dizaines d’années, notamment dans les contes traditionnels. Étant disponibles dans de multiples versions, ceux-ci ne peuvent que s’éroder sur le plan sémantique. Il nous faut voir en quoi l’image peut les resémantiser. Nous avons alors cherché, dans six albums de contes populaires, les divers dispositifs iconiques et découvert que ceux-ci, nombreux, étaient à mettre en relation avec les « discordances » narratives aptes à capter l’attention du lecteur selon Raphaë̈l Baroni ainsi qu’avec les représentations permettant l’apprentissage par immersion cher à Jean- Marie Schaeffer. Ce qui représente autant de dispositifs aptes à assurer la simulation imaginative du lecteur et la resémantisation du conte.

1. Introduction

2. Une préférence accordée à l’image ou à l’illustration?

3. Quels titres pour quels dispositifs iconiques?

4. Conclusion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