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물 보·바닥 법정 내화구조 분류체계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Classification System for Beam and Slab of Fire Resistance Construction in Building s Law
- 한국방재학회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20권1호
-
2020.02203 - 210 (8 pages)
- 79

건축물 화재시 인명 대피시간의 확보와 화재확산 방지 및 건물붕괴 방지를 위하여 건축물의 용도와 규모, 층수에 따라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설계하고 있으며, 내화구조는 사양적 혹은 성능적 방법에 의해 설계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건축법령에 의해사양적 내화구조를 명시하고 있는데 현행 법정 내화구조의 경우 부재에 요구되는 내화성능 시간에 상관없이 사용 재료와두께 등에 대해서만 규정하고 있어 과다설계 혹은 과소설계의 문제를 안고 있으며, 특별한 변화 없이 수십 년간 경과되어최근의 건축재료 및 공법의 기술발전과 시대적 요구를 적절히 수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행『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3조에 규정되어 있는 건축물 법정내화구조중 보와 바닥구조에 대하여구조형식별, 성능요건별로 세분화하여 새로운 법정 내화구조 분류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To guarantee evacuation time and prevent the spread of fire and the collapse of a building on fire, the main structure is designed based on the fire resistance construction, depending on the number of stories, the purpose, and the scale of the building. Further, the fire resistance construction plan is designed using prescriptive or performance methods. Domestic laws prescribe materials and recommend certain thickness of fire resistance constructions, without considering the fire-resistant performance time. Issues such as over-design or under-design and lack of consideration of the recent technological advancements in construction materials and techniques persist, as considerable time would have elapsed since the enactment of the law.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improved modifications to the Building Code for Fire resistance Construction prescribed in Article 3 of the current “Rules for the Standards of Escapes/ Fire-Proof Construction of Buildings and Others.”
1. 서 론
2.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 국내외 법정내화구조 조사 및 분석
4. 법정내화구조 내화성능 고찰
5. 법정내화구조 분류체계 세분화 제안
6.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0)
(0)